영화는 2차 세계대전으로 상처받은 군인 프레디가 종교(사이언톨로지)에 의해 치유가 아닌 미궁에 빠지는 과정이 담겼다. "2차 대전 이후 전쟁 트라우마로 사이언톨로지가 사람들을 치유하는 게 전염병처럼 번졌고, 영화'매그놀리아'를 찍으면서 톰 크루즈와의 친분으로 사이언톨로지를 더 깊숙이 알게 됐다"는 것은 그를 통해 안 영화의 앞뒤쪽 사연. "'힐링'을 외치는 우리나라가 전쟁 상흔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감독의, 그의 진단에 객석은 뒤늦게 고개를 주억거렸다.
다음날 전주 메가박스에서 상영된 '미카엘 하네케 감독'(감독 이브 몽마외르)에서도 진중한 영화를 좋아하는 관람객들의 열기가 이어졌다. 크리틱 톡에 다시 나타난 평론가 한창호씨는 하네케 작품을 두고 "불편한 진실을 압축시킨 영화"라고 정리했다.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안겨준 '하얀 리본'(2009)과 '아무르'(2012)를 비롯해 그의 대부분의 작품은 진실 이면의 참혹한 진실에 눈을 뜨라고 다그치는 영화. 그는 "이유를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잔인한 범죄 등을 군더더기 없이 보여주는 것은 그것은 결국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내 영화가 허가된 것을 넘어서는 '외설'이길 바란다"는 감독의 말을 인용한 그는 '영하 20도 칼바람'이 부는 비관주의자 하네케와의 만남을 훈훈하게 마무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