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하구의 어촌에서 출발한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뒤에는 ‘세계적인 물류 허브’, ‘유럽 최대 무역항’ 등 화려한 수식어가 붙고 있다.
이 곳은 지난 1966년 첫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 한 후 현재 1000만TEU 돌파에 이어 1500만TEU를 바라볼 정도로 엄청난 물량을 처리하는 국제적인 항만으로 도약했다.
이 같은 성공신화에는 해운산업에 유리한 자연적·지리적 여건도 있겠지만 이를 바탕으로 한 국가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원동력이 됐다는 평가다.
기존 해운과 항만기능을 넘어 배후지에 대규모 물류시설을 건설하고 다양한 연계 교통망을 구축하는 등 발 빠른 대처와 투자가 오늘날 네덜란드의 성장을 견인하는 일등공신이 되고 있다.
수치상 비교 불가한 군산항에게는 머나먼 남의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군산항이 ‘환황해권 중추 항만으로 발돋움하느냐, 아니면 활력을 잃고 쇠퇴하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시점에서 진지하게 눈여겨봐야 할 대목임은 틀림없다.
가까운 사례를 보더라도 군산항보다 개항 시기가 90년 정도가 늦은 평택항이나 광양항 역시 자치단체의 관심과 의지 속에 고속성장은 물론 해당 지역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결국 전북의 경제 발전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도내 유일의 해양관문인 군산항 활성화가 필수 조건이라는 게 중론이다.
올해로 121주년을 맞은 군산항은 개항 이래 외국과 해상교역으로 지역경제 발전은 물론 항만 준설토로 군산국가산단 탄생과 새만금산단을 조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지만 지금은 큰 위기를 겪고 있다.
항만 침체의 원인 파악과 실질적인 대책이 당연히 마련되어야 하지만 먼저 군산항에 대한 전북도와 정치권·지역사회의 인식 전환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군산항이 환 황해권의 물류중심지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면서도 그 동안 도내 사업 추진에 있어 해양항만 정책이 우선 순위에서 밀리거나 홀대된 것에 따른 불만이 담겨 있다.
그 동안 군산항 활성화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다른 항만과 비교하면 전북의 해양항만정책은 국가사업을 보조하거나 형식적인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게 항만업계의 목소리다.
이런 가운데 군산항 발전을 위해 자치단체·정치권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동력도 멈춰서는 안 된다는 여론도 나오고 있다.
실례로 지난 2000년 항만 이용자들이 뜻을 모아 발족한 ‘군산항발전협의회’는 유명무실해진 상태이며, 이 밖에 다른 협의체들 역시 기대와 달리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평택, 보령, 여수·광양 등 타 항만 도시들이 자체적으로 항만발전협의회의를 비롯해 다양한 관련 조직을 구성한 뒤 자치단체 또는 정치권과 협력하며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조된다.
한 항만 관계자는 “군산항의 현장 목소리가 정책에 잘 반영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종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협업할 실질적인 대화 창구도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전북도와 군산해수청이 군산항 활성화 종합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강한 의지”라며 “이를 바탕으로 군산항의 현실을 직시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