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농사는 예술이다

봄이 되면 산에는 진달래가 피고 소쩍새가 운다. 소쩍새가 처음 운 날 밤 어머니는 우리에게 아침 화장실에 앉아 '어제 저녁에 소쩍새가 처음 울었지?'라고 소쩍새 울음소리를 기억해내면 그 사람은 아주 영리한 사람이라고 했다. 잠들기 전에 내일 아침에는 틀림없이 소쩍새 울던 기억을 떠올릴 것을 굳게 다짐하며 잠이 들지만 나는 평생 한 번도 '어제 밤 처음 울던 소쩍새 소리'를 기억해 내지 못했다. 늘 화장실 문을 나서며 아차! 하고 말았다. 어머니는 자연 속에서 일하는 것을 말하고 나는 어머니의 말을 받아쓰면 시가 되기도 했다. 눈 코 뜰 새 없이 바쁜 농사 철 어머니는 그 바쁜 와중에도 이런 말씀을 하셨다. "소낙비는 오지요/소는 뛰지요/바작에 풀은 넘어지지요/ 설사는 났지요./허리띠는 안 풀어지지요./들판에 사람들은 많지요." 이 이야기가 충청도에서도 있었는지 장사익이 노래로 만들어 불렀다. 힘든 노동을 이기고 잊기 위해 농사꾼들은 그렇게 일을 놀이로 만들었다. 배를 짜면서 배틀 노래를 불렀고, 논을 매면서 남정네들은 핏대를 세우며 농부가를 불러 재꼈다. 밤송이를 겨드랑이에 넣어 아프지 않을 때, 대추가 콧구멍으로 들어갈 때 모내기를 하면 쌀밥을 먹는다고 했다. 자연에서 찾아 가져온 이 아름다운 '예술적인 과학' 이야기들은 농부들의 일상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가꾸어 주었다.

 

가을이 되면 어머니는 애호박을 따서 하얀 낮달처럼 동글납작하게 잘라 강변 바위 위에 널거나 돌담 위에 널었다. 동글납작하게 잘린 애호박들은 몸을 뒤틀며 낮달처럼 말라갔다. 어머니는 때로 애호박을 잘라 시멘트 담장 위에 지푸라기로 레일을 깔고 그 위에 간격과 줄을 맞추어 널었다. 애 호박을 널고 있는 오래 된 농부인 어머니의 모습, 오래 된 우리나라 가을 하늘에 오래 된 낮달, 밤송이를 겨드랑이에 집어넣어도 안 아플 때 심어 거둔 햇 지푸라기 위에 하얗게 널린 애 호박은 그림이요 시요 사진이요 음악이요 과학이요 철학이다. 어머니는 가을 햇살이 하는 일과 가을바람이 하는 일을 알고 있는 것이다. 어머니는 참나무 잎이 하얗게 뒤집어지면 사흘 뒤에 비가 온다고 알려준 참나무 잎들을 믿는 것이다. 다람쥐가 참나무 잎을 믿고 허공의 두려움을 떨치며 이 가지에서 저 가지로 건너뛰는 것과 같은 이치요, 그 이치를 몸과 마음에 익힌 놀라운 삶에 대한 낙천과 믿음의 소산이다.

 

어린 모들이 땅심을 믿고 땅 맛을 알아가며 돌아앉는 초여름의 들판만큼 아름다운 생명의 현재 진행형이 어디 있는가. 나이든 농부가 저문 들판 길을 홀로 걷는 저들만큼 외로움이, 그리움이, 아픔이, 기다림이 담긴 아름다운 사진이, 그림이, 시가, 노래가, 어디 있는가. 그 보다 더 세상을 정리 해 내는 정치가 철학이 과학이 그 모든 것들의 가치인 상생의 가치를 어디에서 또 찾을까. 물과 바람과 햇살을 이해하고 그 것들이 섞인 땅을 믿고 씨를 뿌려 기다리고 견디며 마침내 곡식을 거두어 너도 먹고 나도 먹고 나누어 먹어 너도 살고 나도 살고 우리가 같이 함께 살아야 하는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것을 교육하는 그만한 예술이 또 어디 있는가.

 

아무리 세상이 변하고 변해도 변하지 않은 영원불변의 가치인 물과 바람과 햇살이 하는 일을 알고 그것들을 믿으며 살아가는 농사꾼들의 하루는 오랜 세월 우리들에게 삶과 예술이 하나였을 확인시켜 왔다. 어머니는 참나무 잎이 하얗게 뒤집어지는 산 아래 앉아 삶은 고사리를 뒤적여 말린다. 자연과 하나가 된 그 노동의 몸짓은 바람 타는 한그루 참나무다. 액자와 무대에 갇히기를 거부하는 해방의 몸짓이다. /본보 편집위원

김원용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부尹대통령, 6시간만에 계엄 해제 선언…"계엄군 철수"

정부尹대통령 "국무회의 통해 계엄 해제할 것"

국회·정당우의장 "국회가 최후의 보루임을 확인…헌정질서 지켜낼 것"

국회·정당추경호 "일련의 사태 유감…계엄선포, 뉴스 보고 알았다"

국회·정당비상계엄 선포→계엄군 포고령→국회 해제요구…긴박했던 15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