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3 11:28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건·의료
일반기사

[한방칼럼]춘곤증

 

날씨가 풀리는 봄철이 되면 찾아오는 증상 중의 하나가 춘곤증입니다. 춘곤증은 추운 겨울 동안에 움츠렸던 우리 몸이 날씨가 풀리면서 봄기운에 적응하지 못하여 입맛이 떨어지고 아무 것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몸이 나른하고 자꾸 하품을 하며 누울 자리만 찾게 되고 닭 병 걸린 사람처럼 졸리게 되며 피부는 윤기가 없으며 거칠어지고 아무 것도 하고자 하는 의욕이 없어지는 무기력한 상태가 되며 대인관계에서 불화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봄이 찾아오는 길목에서 느끼는 이런 증상을 춘곤증이라 합니다.

 

우리가 사는 자연은 춘?하?추?동 4계절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또한 우리 몸도 자연의 4계절에 적응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에 자연을 대우주라고 하고 우리 몸은 소우주라 합니다. 4계절을 "춘생?하장?추수?동장(春生?夏長?秋收?冬藏)”이라 표현하는데, 봄은 생동하며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생명의 계절이고 여름은 무럭무럭 자라고 성장하는 성장의 계절이며 가을은 자랐던 곡식을 추수하는 수확의 계절이고 겨울은 겨우 내내 지내기 위한 저장의 계절을 의미합니다.

 

특히 봄기운은 상승하는 기운으로 만물의 활동력을 촉진하며 묵은 것을 열어 젖히고 새로운 생명력이 약진하는 계절입니다. 따라서 우리 몸이 이런 봄기운에 적응하게 된다면 겨울철에 떨어졌던 신진대사기능이 활발해지고 움츠렸던 오장육부의 기능이 활성화가 됩니다. 그러나 추운 겨울 동안에 움츠렸던 우리 몸이 날씨가 풀리면서 봄기운에 적응치 못하면 춘곤증과 같은 질병이 찾아옵니다.

 

따라서 한방에서 춘곤증은 기운이 부족해서 발병한다고 봅니다. 춘곤증에는 기운을 보충해주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나 생맥산(生脈散)과 같은 처방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힘없고 비실비실 하는 사람을 '맥없는 사람'이라고 하는데, 이런 맥없는 사람에게 맥을 생기게 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 바로 생맥산으로 춘곤증이나 여름철에 더위 먹은 후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또한 춘곤증에 효과적인 단방약으로 인삼과 황기가 있습니다. 인삼과 황기는 기운을 북돋아주고 몸에 저항력을 키워주며 소화기능을 좋게 하고 체내에 부족한 진액을 생기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기운이 부족한 사람에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춘곤증을 극복하기 위한 좋은 음식은 봄기운을 간직하고 있는 봄철 채소가 아주 좋습니다. 냉이, 다래, 쑥, 미나리, 부추, 씀바귀 같은 나물들은 자연이 주는 봄기운을 많이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나물들을 섭취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치고 나른한 우리 몸에 새로운 활력을 주면서 입맛을 회복시켜 줍니다. 또한 육류 등 고단백 식품은 영양보충은 물론, 졸음을 쫒는 효과가 있고 비타민이 함유된 음식이나 균형잡힌 식사를 하는 것도 춘곤증을 극복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일상생활에서 지나친 스트레스나 과도한 음주, 흡연, 불규칙적인 생활등은 우리의 심신을 피곤하게 하기 때문에 이것들이 개선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약이나 음식이 있다 하여도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약물이나 식이요법보다도 중요한 것이 바로 규칙적인 생활습관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움츠려들고 감추는 시기이고 잠자는 시간이 부족해지기 쉽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일찍 자고 조금 늦게 일어나며 차가운 기운에 노출되는 과다한 활동은 피하여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고 봄철에 접어들어 날씨가 풀리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며 적당히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면 기본적인 체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춘곤증을 예방할 수도 있고 쉽게 극복할수 있습니다.

 

/김태희(우석대부속한방병원 부인ㆍ소아과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