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지역
16일 교육부, 충북·광주전남·경남 3곳 선정 발표
전북은 행정·교육당국 소통 부족 아쉽다는 지적
지방정부와 대학·교육청 간 가치사슬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와 인재육성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정부차원의 움직임이 빨라진 가운데 도내 지자체와 교육당국 간 불협화음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교육부는 16일 “경남, 충북, 광주·전남 3곳이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공모에는 전북도를 비롯한 비수도권 14개 모든 시도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총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는데 전북은 최종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전북도와 전북대가 중심이 돼 스마트농생명과 미래수송기계, 금융 등을 주력분야로 삼고 지역대학과 기관 연계방안을 제안했으나 탈락된 것.
정부는 앞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전반적인 정주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배경에 지역경제의 위기와 교육문제가 함께 얽혀있다고 판단했다. 이 때문에 교육부가 직접 나서 수도권 인구 집중을 막고 지역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지자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선순환 생태계를 제시했다. 하지만 정작 지역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은 전북교육청이 핵심주체에서 빠지면서 전북은 선정대상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실제 선정된 지역플랫폼 3건에는 모두 혁신주체 첫 명단에 각 지방교육청이 포함돼 있었다.
교육부는 이 사업을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범부처 핵심정책”이라고 소개하며“대학과 지자체가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청년의 지역정착비율을 늘리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선정된 자치단체들은 정부의 강한 의지에 화답하듯 ‘지역 내 역량을 모두 쏟아 부었다’는 평가다.
경남 플랫폼에는 경남도교육청은 물론 17개 대학이 함께했다. 이들은 제조 엔지니어링, 제조 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를 사업의 핵심 분야로 키우겠다고 선언, 분야별로 중심대학을 만들어 전공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경남 공유형 대학(USG·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모델을 개발했다.
특히 플랫폼에는 대기업인 LG전자를 비롯해 50여개의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다. LG전자는 USG 수료학생을 대상으로 한 채용 쿼터제 도입도 검토 중이다.
충북은 지역 내 15개 대학과 44개 기관이 바이오헬스 관련 고급인력양성에 나선다. 충북은 대학과 기관이 공동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교육과정까지 표준화 한 통합학사관리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광주전남은 에너지밸리산학융합단지·대불 산학융합단지와 25개 연계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신산업을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계획이다. 광주전남에서는 15개 대학과 31개 대학이 참여주체다.
반면 전북의 경우 인구 수가 적은 충북보다도 참여주체가 적었다. 참여대학은 7곳 지역혁신기관은 10곳에 그쳤으며 혁신기관 명단에 교육당국과 지역대표기업도 없었다.
행정당국과 교육당국 간 엇박자는 그간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왔지만,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