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정주인구 외 ‘관계인구’ 주목
지난해 전북 귀농 · 귀촌인 수 2018년 수준 회복
코로나19, 대도시 주택 가격 급등 등 영향 분석
귀농·귀촌이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부상한 가운데 귀농·귀촌 정책을 ‘정주인구’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과 교류하는 ‘관계인구’까지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와 주목된다. 관계인구는 관광 목적으로 지역에 머무르는 교류인구와 지역으로 이주해 사는 정주인구의 중간 개념이다. 농특산물 소비부터 기부, 체류형 관광 등 지역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관계를 맺는 사람들을 뜻한다.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2020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귀농·귀촌 인구는 49만 4569명으로 전년 대비 7.4%(3만 3924명) 증가하며 2018년 수준을 회복했다. 귀농 가구원은 1만 7447명으로 전년보다 7.8%(1266명), 귀촌 가구원은 47만 7122명으로 전년보다 7.3%(3만 2658명) 증가했다.
전북의 귀농 가구원은 2018년 2080명, 2019년 1853명, 2020년 1994명으로 조사됐다. 귀촌 가구원은 2018년 1만 4600명, 2019년 1만 3477명, 2020년 1만 4887명을 기록했다.
이처럼 귀농·귀촌이 증가한 데는 코로나19 대유행과 도시 주택 가격 급등 등 사회·경제적 충격을 비롯해 농촌 생활에 대한 선호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귀농·귀촌 사유도 과거와는 다소 다른 형태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적인 건강, 가족 등의 이유보다 직업과 교육 등의 이유로 귀촌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농촌이 삶과 일의 새로운 공간으로서 갖는 가능성을 함의한다.
이와 관련 연구원은 “여러 조사 결과를 종합할 때, 국민들의 농촌 생활 선호 문화는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귀농·귀촌을 포함해 관계인구를 확대하는 폭넓은 대응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농촌과 관계 맺기를 희망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61.4%가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41.0%는 정기 방문의 형태, 9.71%는 4도3촌 혹은 5도2촌의 반정주 형태, 10.8%는 완전 정주를 원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