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세 차례 무산됐지만 여전히 도민 열망 높아
여론조사에서도 압도적으로 과제로 거론
통합 무산으로 전국서 거의 유일하게 초 광역권은커녕 광역권도 만들지 못해
규모에서 밀리다보니 국가현안 논의에서도 전북 뒷전
완주군 설득이 열쇠지만, 정치권 혼란 우려에 모르쇠 일관
일부 후보자 통합론에 불 붙였지만, 세부적인 디테일 떨어지고 책임감 아쉽다는 평가
전주·완주 행정구역 통합문제가 올 6월 전북 지방선거의 제1화두로 떠올랐다.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다시 촉발된 배경은 초(超)광역경제권 논의와 메가시티 건설의 선행조건이 전북의 광역화에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대도시로 인정하는 최소한의 기준이 인구100만인데 전주는 지금의 상황이라면 70만 도시도 요원할 전망이다.
전북이 타 지역에 비해 교통망과 여러 시책에서 소외되는 이유 또한 광역시를 배출하지 못한데 있다. 특히 전북의 중심도시 ‘전주’는 시간이 지날수록 타 광역지자체 ‘중심도시’와 비교할 때 그 규모가 점차 작아지면서 전북발전의 구심축이 사라졌다.
이번 지선에 나서는 전주시장과 완주군수 후보들이 전주·완주 통합론을 다시 들고 나온 배경도 전북권역 대도시 출범을 희망하는 도민들의 열망이 커진 데 있다.
실제 KBS전주방송총국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사흘 간 전북거주 만 18살 이상 남녀 14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응답률 17.5%,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 ±2.6%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전주시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묻는 질문에 29.1%가 ‘완주 등 다른 시∙군과 행정통합’이라고 답했다.
문제는 전주·완주 통합의 열쇠를 쥔 완주군의 반발을 어떻게 풀어내느냐에 있다. 여기에 민선지방자치 시대 ‘소지역주의’가 강해지면서 해당 지역 군의원 등 선출직들이 군민들의 의견을 이유로 거세게 저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서 전북은 전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초 광역권 메가시티는커녕 광역권을 조성을 논하기도 어려운 입장이 됐다.
지선 출마 예상자들 역시 시민과 군민을 핑계로 그 책임을 유권자에게 떠넘기고 있다. 청주·청원은 물론 최근 특례시로 승격한 창원·마산·진해가 갈등을 피하고 않고, 통합을 이뤄낸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일부 후보자들은 통합론에 불을 붙였지만, 세부적인 이행계획을 제시하는 대신 두루뭉술한 표현으로 여지를 남겨뒀다. 정치권 역시 혼란을 미리 염려해 통합문제에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전주·완주 통합 논의를 역으로 활용한 포퓰리즘도 고개를 들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일부 지역 내 정치브로커들이 자주 쓰는 수법 중 하나로 완주군민들의 감정을 자극시켜 전주와 대립구도를 형성, 단숨에 지역 내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데 악용되고 있다.
전주시장과 완주군수에 출마 의향을 밝힌 정치인들도 통합의 필요성을 부정하진 않으나 이를 전면에 내세우는 데에는 큰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조지훈 전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은 물리적 통합 대신 ‘만경강 테라시티’라는 메가시티 전략을 제시했다. 우범기 전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통합 추진'을,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은 '전주완주를 넘어 익산과의 통합도 이제 선택이 아닌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임정엽 전 완주군수는 “통합을 위해서는 완주를 배려하려는 부단한 노력이 필수”라고 언급했다. 유창희 전 도의원은 전주와 완주를 100만 경제특별시로 만들겠다고 공약을 내놨다. 전주시장 후보군의 공통점은 "전주가 미래에 최소 100만 도시가 돼야 자족발전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완주군수 출마자들의 경우 대부분 통합의 당위성은 인정하면서도 반드시 단서에 “군민들의 의견이 우선이다”고 했다. 전북도지사 후보들 역시 지방선거가 본격화 되면 전주·완주 통합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