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갖춘 사업 범위·규모 절대적"
전북문화재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시설과 사업, 전문인력이 상호연계성과 지속성을 담보할 만한 일정 정도의 규모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전북도의회 문화관광건설위원회 주최로 28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전북문화재단 설립 토론회'에서는 재단의 사업 범위와 규모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민간위탁되고 있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을 비롯해 전주세계소리축제, 전북도립국악원 등 3대 사업을 재단이 운영할 것인가를 핵심으로 한 재단 규모에 대해서는 공룡화에 대한 우려보다는 전북 문화예술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위해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를 이뤘다.
이정덕 전북대 교수는 "전주문화재단을 보면 알 수 있듯 소규모 재단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가장 규모가 큰 경기문화재단의 경우 효과도 가장 크다"며 "현재 각 문화시설들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다 보니 연계효과를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시설과 축제, 순수예술, 전북문화방향과의 연계효과에 대한 고민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송진영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 정책부장은 광주의 예를 들며,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운영, 문화예술 관련 시설 운영은 전국적으로 대부분 문화재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영역이면서 반드시 재단이 맡아야 할 사업"이라며 "운영주체를 결정하는 문제에서 문화재단 규모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우려한다면 이것은 적합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선태 문화연구 창 소장은 "한 해 전라북도 문예진흥기금이 많아야 50억원 정도인데 소리전당과 소리축제, 국악원을 합친 한 해 예산은 100억원이 넘는다"며 "공공영역에 있는 3대 사업이 과연 전북 문화예술의 수준을 높이고 도민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김경섭 새전북신문 편집국장 역시 "소리축제는 10년이 됐음에도 여전히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소리전당은 운영과 지원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필요하고 국악원은 행정적 운영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이런 현실이라면 재단의 기획 관리 대상에 포함시켜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조병열 대전문화재단 정책기획팀장은 "재단 초기 문화시설이나 예술단체를 위탁운영하는 것이 조직을 키우는 장점이 될 수는 있으나 부수적인 역할에 힘을 소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지역 문화예술의 다양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계했다. 문윤걸 예원예술대 교수도 "현재 재단은 출범 전으로 어떤 역량을 갖춘 조직인 될 것인지 전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3대 사업의 위탁여부를 논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