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완규(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익산지역은 마한과 백제의 정치문화 중심지로서 우리나라 고대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자료의 빈곤에서 비롯된 연구 부족으로 그 가치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해 왔지만, 최근 고고학 자료의 증가와 그에 대한 연구결과 익산지역이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
3세기 중엽의 중국 사서인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에는 “연나라에서 망명해 온 「위만」의 공격을 받은 고조선 「준왕」이 좌우 궁인을 거느리고 바다 건너 한지(韓地)에 와서 한왕이 되었는데, 그 후 절멸되었다”라 기록되었다. 이후 5세기 중엽의 『후한서』에서는 『삼국지』의 내용을 동일하게 이어받고 있지만, 한(韓)을 마한으로 바꾸어 기술하고 있다. 이후 우리나라 사서인 『삼국유사』를 거쳐 『제왕운기』와 『고려사』에서는 구체적으로 금마를 마한의 개국지로 지목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익산지역은 오래전부터 마한의 고도로 인식되어 왔던 것이다.
익산지역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많은 청동유물들이 신고나 수습되면서 청동기문화의 중심지로 주목되었고, 이러한 고고학 자료를 마한과 관련짓고자 하는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 자료들이 대부분 신고유물들이어서 그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1990년대 초반, 익산 신동리유적에서 청동유물과 철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면서 마한 고도 익산에 대한 정보가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 만경강을 중심으로 북쪽의 익산지역과 남쪽의 전주, 완주, 김제지역에서 집단 토광묘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들 토광묘에서 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로 대표되는 토기류, 세형동검과 청동거울을 비롯한 청동유물과 더불어 철제 도끼와 낫이 확인됨에 따라 새로운 물질문화인 철기의 유입은 마한 성립의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문헌자료를 통해 보면 마한 성립의 핵심지역은 금마일원으로 상정할 수 있지만, 최근 고고학적 성과에 따라 좀 더 공간적 범위를 확대하여 만경강유역을 “마한태동문화권”으로 설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하다. 왜냐하면 최근 입법화가 추진되고 있는 “역사문화권 특별법”에서 전북의 마한문화권역이 추가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준비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조선 이후의 문헌기록이나 전승되어 내려온 각종 설화나 민속놀이에서 보면 백제보다는 오히려 마한과 관련된 내용들이 풍부하게 남아 있는데, 곧 익산지역에는 마한 전통의 문화가 그만큼 강하게 뿌리내리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익산을 비롯한 만경강유역에서는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백제의 묘제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5세기 후엽까지 마한전통의 분구묘를 지속적으로 축조하고 있는 점에서 강력한 마한문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