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와 같은 소선거구제 유지할 경우 인구상한지역 많은 수도권 의석수 늘어
반면 인구감소 확연한 전북 등 지방 의석수 줄어들을 가능성 커져
전북 국회의원 의석 15대 14명, 16대 10명, 17~19대 11명, 20~21대 10명
선거제도 개편이 전북 정치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인구 감소율이 높은 전북의 경우 선거구당 의원 1명을 뽑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할 경우나 3~5명을 뽑는 중선거구제가 도입되더라도 전북 의석수 10석을 지키기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정작 전북 정치권은 현행의 10석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속에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선거구획정과 관련해 지역과 지역을 합구하고 지역 내 동을 분구하는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양새다.
역대 전북 국회의원 의석을 보면 13∼15대(1988∼1996년) 14석, 16대(2000∼2004년) 10석, 17∼19대(2004∼2016년) 11석, 20∼21대(2016∼2024년) 10석으로 ‘널뛰기 의석수’를 보여왔다.
내년 22대 총선 역시 선거 제도를 바꾸자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300석을 유지하는 소선거구제를 적용한다해도 인구상한이 많은 수도권 의석은 3~8석이 느는 반면 반대급부로 지방 의석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특히 전북은 인구하한선에 미달된 지역구만 익산갑, 김제·부안, 남원·임실·순창 등 3곳에 달해 의석수 감소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전북 10석을 지키기 위해 전북 정치권이 하나로 뭉쳐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여론이다.
전북 내 한 국회의원은 “인구 추세라면 수도권에 최대 8석이 늘어날 수도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전북이 10석을 지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인구하한에 못미치는 선거구가 조정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회의원도 “지금 전북 정치 기류는 10석을 지키는 전제로 선거구 조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나 실제로는 10석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최대 쟁점”이라며 “전북 의원들이 하나로 힘을 합해 10석을 지키기 위한 묘안을 짜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