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명화극장 살인의 추억(284-6994)
프리머스 1관 와일드 카드 (231-5533)
프리머스 2관 살인의 추억
프리머스 3관 튜브
프리머스 4관 이도공간
프리머스 5관 나비
프리머스 6관 성질죽이기
프리머스 7관 선생 김봉두
프리머스 8관 다크니스
프리머스 9관 엑스맨2
아카데미아트홀 1관 매트릭스2 (271-1235)
아카데미아트홀 2관 튜브
아카데미아트홀 3관 매트릭스2
씨네시티코리아 1관 니모를 찾아서(283-7766)
씨네시티코리아 2관 성질죽이기
씨네시티코리아 3관 매트릭스2
씨네마파크 오! 해피데이(288-0722)
(어린이회관 자동차극장)
-군산
국도극장 휴관 중 (445-2460)
시네마우일 1관 매트릭스2(445-3613)
시네마우일 2관 튜브
시네마우일 3관 살인의 추억
시네마우일 4관 와일드 카드
금강하구둑자동차극장 살인의 추억(041-956-5564)
-익산
아카데미극장 1관 와일드 카드(841-5404)
아카데미극장 2관 살인의 추억(855-7923)
아카데미극장 3관 니모를 찾아서(851-1791)
씨네마 1관 매트릭스2(841-5226)
씨네마 2관 매트릭스2
씨네마 3관 튜브
-정읍
중앙극장 와이드 카드(535-5170)
현대극장 살인의 추억(532-6353)
-남원
제일극장 살인의 추억(625-2332
이번 주 개봉영화
지하철 테러를 소재로 한 '튜브'는 제작비 70억을 들인 한국형 블록버스터. 캐릭터 설정과 사실적인 액션은 관객의 시선을 끌만큼 화려하다. 박상민·배두나의 카리스마, 쉴새없이 뛰고 매달리는 김석훈, 손병호·임현식·기주봉 등 조연들의 연기도 흠잡을 데 없다. 하지만 단순한 갈등구성으로 융합되지 않은 드라마적 요소는 아쉽다. 또 영화'스피드'의 '버스'가 '튜브'의 '지하철'로 바뀐 것은 아닌지 의문도 든다.
죽은 자의 혼령을 보는 여인과, 여인을 치료하다가 자신마저 원혼에게 쫓기게 된 정신과 의사의 사랑을 그린 심리 공포물'이도공간'. 영화를 보며 투신자살로 생을 마감한 인간 장국영과 배우 장국영의 삶을 분리하기란 쉽지 않다. 창백한 낯빛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정신과 의사를 연기한 그의 실제 마지막 날들이 영화와 같지는 않았을까, 하는 상상과 겹치며 숙연한 슬픔을 자아낸다.
'니모를 찾아서'는 눈물겨운 부정(父情)이 주제다. 겁쟁이 아빠 물고기가 치과의사의 수족관으로 납치된 아들을 찾기 위해 바다 속 수만 마일을 여행하며 겪는 모험이 주요 내용. 자녀들을 온실의 화초처럼 기르는 우리 모습을 반성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성질 죽이기'의 원제는 'Anger Management'. 분노를 다스려 치료한다는 뜻이다. '9·11 테러'이후 병적일 정도로 민감해지고 있는 집단 히스테리 적인 미국사회의 단면을 풍자하고 있다.
지난 주 개봉영화
'어른들의 성장영화'란 색다른 모양새를 띈 독일영화 '신과 함께 가라'는 속세에 무지하다시피 한 수도사들이 속세에서 겪는 갈등과 방황, 성장을 다룬 로드 무비. 언뜻 경건한 종교극이 연상되지만 영화는 경쾌하게 진행된다. 또 변심한 베노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성당에 모인 3명의 수도사가 함께 성가를 부르는 장면은 사람의 목소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앤트원 피셔'는 감옥에서 태어난 피셔가 출감이후 자신을 버린 어머니와 학대와 멸시를 일삼았던 양부모 등 들추기 싫은 기억과 대면하며 상처받은 자아를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렸다. 원작 '파인딩 피시'는 미국 내 베스트 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비정성시'로 1989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받은 허우샤오셴 감독의 '밀레니엄 맘보'는 그가 21세기를 맞아 기획한 '현대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이다. 2011년 20대 후반이 된 비키가 회상하는 2001년의 오늘. 줄거리는 간단하지만 흔들리는 청춘의 초상과 동시대를 가장 근접 촬영한 영화로 기록될 만하다.
'다크니스'(감독 자우메 발라구에로)에서 악의 진원지는 '어둠'이다. 스스로 도는 회전목마 장난감, 복도 끝에 서있는 아이들의 혼령 등 어둠이 짙어지면서 공포가 휘감아 온다. 닳고닳은 장치와 뻔한 캐릭터를 차용했지만 빠른 장면 전환, 흔들리는 카메라, 날카로운 사운드 등 적절하게 사용된 테크닉은 영화의 강점이다.
외국 영화들의 대거 입성이라는 악조건 속에서 과감하게 출사표를 던진 국내영화도 있다. 채정안 주연의 한·일합작영화'런 투유'(감독 강정수)와 남북 동시개봉하는 남한영화'아리랑'(감독 이두용).
2003 리메이크판 '아리랑'은 1926년 춘사 나운규의 작품을 70여 년만에 리메이크한 작품. 1926년 당시 극장 안을 눈물의 홍수로 잠기게 하다가 영화가 끝날 무렵 모든 관객이 일어나 아리랑을 합창하게 만들었다는 전설을 가진 영화다.
"살아가는 시름 잊고 눈물이 나면 참지 말아 주시길… 자, 영사실 필름 돌려요”라는 변사 최주봉의 멘트와 신인 연기자들의 조화는 낯설지만 오히려 친숙한 매력을 선보이고, 익숙한 신파정서는 웃음보와 눈물샘을 번갈아 자극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