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6:4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아무나 모르는 문화이야기] (31)민화 화재(畵材)의 의미

때론 익살스럽게… 또는 파격적으로… 그림에 나타난 '민중의 삶'

왼쪽부터 십장생도, 어해도, 문자도, 화조도. 전주역사박물관 제공. ([email protected])

'해 년(年)'자와 발음이 비슷해 '해마다'라는 의미를 지닌 연꽃. 민화(民畵)에서 연꽃은 무엇과 함께 그리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연꽃과 원앙을 함께 그리면 부부의 화목을, 물고기와 함께 그리면 재물이 풍부하고 정신적 여유가 항상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연밥의 씨앗을 쪼는 새는 아들을 얻고자 하는 기원이다. 물새가 앉아 '연의 씨앗(蓮子)'을 빼먹고 있는 장면을 '연자(連子)'로 풀어, 해마다 아들 낳으라는 의미가 된다. 연밥은 '연과(蓮果)'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연과(連科)'로 읽어 연이어 과거에 합격하라는 뜻을 담기도 했다.

 

허름한 민가의 벽장문에 붙어있던 민화(民畵).

 

민화는 정통회화의 범주에서 벗어났다는 이유로 '잡화'나 '속화'로 불리며 천시받기도 했지만, 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을 위해 그려졌다는 점에서 소중하다. 대부분 정식 그림 교육을 받지 못한 무명화가나 떠돌이화가들이 그려 정통회화에 비해 묘사의 세련도나 격조는 떨어지지만, 익살스럽고도 소박한 형태와 대담하고도 파격적인 구성, 아름다운 색채 등이 오히려 한국적 미를 강렬하게 드러내기도 한다.

 

서민들의 생활 양식과 관습에 바탕을 두고 발전한 민화는 생활공간을 장식하거나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로, 화재(畵材)마다 각기 다른 뜻을 가지고 있다.

 

민화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십장생도(十長生圖)'는 인간이 늙지 않고 오랜 세월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민간이나 도교에서 불로장생한다고 믿는 해, 달, 구름, 산,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복숭아나무, 불로초, 거북이, 학, 사슴이 등장한다.

 

꽃과 함께 의좋게 노니는 한쌍의 새를 소재로 한 '화조도(花鳥圖)'도 많다. 꽃과 새의 종에 따라 세세한 의미는 달라지지만, 주로 부부간의 정조나 가정애를 가리켜 병풍으로 재구성해 신혼부부 신방이나 안방 장식용으로 썼다.

 

'어해도(魚蟹圖)'는 물고기들의 자유분방한 유영이 답답한 현실에서 벗어난 해탈의 경지를 가리킨다. 물고기는 알을 많이 낳는 생물로 다산과 풍요를 상징했지만, 새우와 조개는 회갑·고희·혼례 등 경사스런 잔치에 선물용으로 자주 그려졌다. 새우는 '새우 하(鰕)'자, 조개는 '조개 합(蛤)'자를 쓰는데 읽는 소리가 축하의 '하(賀)'와 화합의 '합(合)'의 독음과 같기 때문이다. 단단한 껍질에 싸여있는 새우와 조개는 간혹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인간의 굳은 지조를 나타내기도 한다.

 

'영수도(靈獸圖)'는 길상적인 짐승들을 수호신의 성격으로 그린 것이다. 이 중 말은 음양학적으로 강한 양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악귀나 병마를 쫓는 수단으로 이용됐으며, 소는 풍년과 부귀영화를 상징했다.

 

소나무 가지에 앉아있는 까치와 그 밑에서 웃는 듯 앉아있는 호랑이를 그린 '작호도(鵲虎圖)'는 주로 새해에 걸리는 그림이다. 예부터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길조로, 호랑이는 악귀를 물리치고 화재, 수재, 풍해, 질병의 고통에서 지켜주는 신비로운 힘이 있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일종의 벽사용이다.

 

글자를 그린 글씨 그림 '문자도(文字圖)'도 민화에 속한다. 주로 그려지는 글자는 유교의 덕목인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등. 문자 의미와 관련된 동식물 또는 일화나 고사의 내용이 글자 획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진다.

 

예를 들어 문자도 '忠'은 '中'부분에는 황룡을, '心'부분에는 대합과 잉어를 배치했다. 황룡은 임금을 상징하는데, 이 그림은 임금이 어진 신하들과 함께 천하의 백성들과 화합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민화에 많이 등장하는 용은 청룡(靑龍)과 운룡(雲龍)이다. 청룡은 귀신을 쫓고 재앙을 막아주는 벽사용, 운룡은 비를 내리게 해주는 의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