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3 12:18 (화)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천년전주문화포럼 '전주에서 연극인으로 살아가기'

"연극으로 먹고살고…연극으로 감동주고 인생 자체가 한편의 연극이죠"

"박근형 선생님이 연출한 '꽃다방블루스'에서 주인공 '춘자'역을 맡았는데, 잘 해보겠다는 욕심에 다른 인물들과 섞이지 못하고 혼자만 방방 떠서 공연을 했어요. 무대에서 행복하게 작업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몰랐던 거죠. 그 후 무대에 서는 게 겁이 났는데, 소극장 판 개관공연이었던 '행복한 가족'에 출연하면서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늘 젊고 예쁜 역할만 하다가 처음으로 나이 많고 멍청하고 장애가 있는 역할을 맡았거든요."

 

전주시립극단 단원인 배우 홍자연씨(31). 30대에 들어서면서 연기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진 것 같다는 그의 목표는 "어떠한 작품에서도 쓰일 수 있는 배우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연극은 살아간다는 그 자체입니다. 연극을 통해 먹고 살고, 연극을 통해 감동도 주고…. 제 인생이 이미 한편의 연극이죠."

 

13일 오후 4시 전주 창작소극장에서 열린 전주문화재단(이사장 라종일) '제26회 천년전주문화포럼'. '전주에서 연극인으로 살아가기'를 주제로 한 이날 포럼은 김영오(극작가) 박영준(공연기획자) 최경성(연출가) 홍자연(배우) 등 연극의 각 분야를 담당하는 이들이 연극인으로 살면서 느낀 성취와 한계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자리였다.

 

"원래 배우였어요. 하지만 텅 빈 객석을 보니 더 많은 사람들에게 연극을 보여주고 싶다는 욕구가 생기더라고요. 물론, 더 좋은 작품을 올려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티켓 마케팅의 필요성을 절감했죠."

 

전주시립극단에서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공연기획자 박영준씨(32).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관객만 많이 오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판단이 들었다. 객석이 언제나 꽉 찰 수는 없기 때문에 남는 객석을 사람들과 나누는 '문화 나눔 운동'을 펼치게 됐다. 초대권을 뿌리는 대신 기업 후원 형식으로 기업에 티켓을 팔고 그 티켓을 소외계층에 나눠줬다. 단순히 후원금을 받는 형식이 아닌 '기브 앤 테이크(give & take)'가 되니 기업들도 좋아했다. 그는 "돈이나 힘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연극과 공연을 나누고 싶었다"고 말했다.

 

"1992년 남편(정찬호 재인촌 우듬지 예술감독)과 딱 10년만 사회를 배운 다음에 극단을 창단하자고 했는데, 기적처럼 2002년에 '재인촌 우듬지'를 창단했습니다. 정말 혹독했던 10년이었지만, 단 하루도 우리 극단에 대한 꿈을 멈춘 적은 없었어요. 2008년에는 딱 42만원을 가지고 소극장 공사를 시작했는데, 아직 남의 건물 임대해 만든 소극장이지만 우리들에게는 최고의 공간입니다."

 

재인촌 우듬지 대표이자 극작가인 김영오씨(45)는 "나의 연극철학은 이야기"라며 "사람이 사람과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최저임금이 보장되지 않는 예술을 한다는 건 정말 힘들어요. 씁쓸하지만, 스스로가 만든 작품을 통해 이러한 힘겨움을 위로하며 살죠. 특히 경제적인 이유로 극단을 나가는 후배들을 보면 안타까워요."

 

전주연극협회 회장이기도 한 최경성 극단 명태 대표(41)는 후배들의 일자리 창출에 전념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전주에 있는 극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연극인들을 중심으로 한옥마을 주말공연단을 꾸릴 계획. 그는 "그래도 예술이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믿는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