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3 12:0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지방분권과 혁신도시 시즌2 로드맵] ⑫ 부산 금융 중심지를 가다-인프라 확충·유관기관 협력 '모범적'...지방 한계 깨기는 '진행중'

전북과는 비교도 안 되는 인력과 자원 투입
부산 지자체 간 협치 전문가 기용, 업무연속성 보여
그러나 부산의 경우도 뚜렷한 변화 없어 고심 중, 금융사의 서울 독점 여전
금융업계 업무편의성 갖춘 도시 인프라 확충 정부와 함께 풀어야

부산국제금융센터 전경. 부산=박형민 기자
부산국제금융센터 전경. 부산=박형민 기자

편집자 주=전북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혁신도시 이전을 발판으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앞두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가시적인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수탁은행 선정을 앞두고 전북혁신도시 이전을 저울질하는 가운데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해야할 지역정치권과 지자체 간 협치는 보이지 않고 있다. 전주가 국제금융도시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쇼핑시설과 교육여건 등 업계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전북도와 도교육청, 전주시 등은 금융타운 관련 이슈 해결을 위한 협력에 있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을 활용해 지난 2009년 금융 중심지로 선정된 부산은 전주가 벤치마킹해야 할 도시로 꼽힌다. 부산은 현재 각 금융도시의 모범경영방식을 공유하며 자신들에게 맞는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하드웨어 갖춰나가는 부산 ‘금융중심지’

기금운용본부 전주 안착과 함께 제3금융 중심지 조성은 전북도민의 열망이지만, 전북은 정부와 정치권은 물론 도내 지자체 간 협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북도와 전주시는 각각 금융도시 조성사업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이를 추진시킬 수 있는 전담조직조차 발족시키지 않은 상태다.

금융도시로서 모습을 갖춰나가고 있는 부산의 경우 부산·경남 정치권이 여야를 넘어 관련 현안들을 해결하는 데 힘을 모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부산은 우선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민자유치를 통해 건립해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부산 문현금융단지에는 63층 높이 289m의 부산국제금융센터와 단독건물인 기술보증기금, 한국은행부산본부, 부산은행이 각각 들어서 있다. 금융기관 통합청사인 부산국제금융센터엔 이달 기준38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당초 63층 규모의 금융센터 건립이 추진되던 당시에는 ‘지방도시에 금융기관이 얼마나 입주 하겠냐’는 의견이 팽배했다. 그러나 부산국제금융센터는 2015년 말을 기점으로 사무실이 부족한 상태에 이르렀다. 완공한 지 불과 1년 만이다. 예상보다 관련기관이 몰려들자 부산시는 수요예측에 실패했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다.

입주기관 공간부족문제해결과 정주여건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2단계 사업인 문현금융단지 지원 시설은 외관 골격공사를 마무리하고 올 11월 완공 예정이다. 이 시설은 1만2276㎡ 부지에 지하 7층~지상 36층과 49층 두 개 동으로 이뤄졌다. 내부에는 비즈니스호텔(306실)과 주거단지(783가구), 뮤지컬 전용극장, 스트리트몰, 증권박물관이 들어선다.

여기에 부산시는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재개발지역, 해운대 센텀시티를 잇는 도심권 첨단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서 민간 금융사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부산국제금융센터 인근에서 만난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산을 굴리고 있는 기금운용본부가 이전한 전주 또한 금융중심지 지정과 함께 제대로 된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 며 “불어나는 국민연금 기금규모에 따라 부산보다도 많은 인력이 모일 가능성도 꽤 높은 도시다” 고 평가했다. 그러나 정작 전주국제금융센터 건립추진은 국비확보에도 실패한 채 허공을 맴돌고 있다.

△금융업계 전문가 기용 ‘필수’

부산시는 최근 인사를 단행하며 민선7기 첫 경제부시장에 금융정책 전문가인 유재수 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을 내정했다.

유 내정자는 재정경제부 금융협력관, 은행제도과장, 산업금융과장, 자본시장과장, 금융위원회 정책국장 등을 역임한 인물로 국내 금융업계 내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다.

유재수 경제부시장 영입은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오거돈 부산시장의 의지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부산시와 부산국제금융추진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금융도시 업무 담당자 수는 30 여명에 달한다. 센터장과 실무자는 금융전문가로 기용했다.

△지자체·지역은행·이전기관 상생도 관건

부산은 한국거래소 등 혁신도시 이전기관과 지역은행이 금융중심지 도약을 위한 협력체계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전기관인 한국거래소(KRX)는 부산금융중심지홍보를 위한 사업을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벌인다.

금융중심지 홍보와 함께 사회공헌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거래소는 어린이 놀이터, 노인복지관, 이주민노동센터 등에 대한 시설 보수를 지원하고 BIFC 임대 공간을 일부를 금융관련 스타트업 사무공간으로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BNK금융그룹 부산은행은 금융중심지 부산을 이끌 지역인재 육성에 힘을 모았다.

캠코와 부산은행은대학생 정보 네트워크인 ‘BUFF’(Busan University network of Future Financial leader)를 운영하고 있다.

‘BUFF’는 캠코와 부산은행의 금융·경제 분야 노하우와 인적역량을 활용해 금융기관이 요구하는 지역인재를 양성하는 산학 협력 프로젝트다.

BNK금융그룹(부산은행)은 또한 영국런던에 있는 세계적인 핀테크 육성기업 엑센트리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협약 이후 부산지역의 유망 핀테크 스타트업을 키우기 위한 교류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부산은행이 금융도시 주체의 한 축을 맡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JB금융그룹과 전북은행 또한 전주를 금융중심지로 조성하기 위한 사업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방도시 한계 극복이 최대과제

부산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지방도시의 한계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부와 부산시는 문현금융중심지 내에 창업하거나 사업장을 신설하는 금융기관에 대해 법인세와 소득세를 3년간 전액 면제하는 내용 등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을 2021년까지 연장시켰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청와대 한병도 정무수석비서관과 만난 자리에서 금융중심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세감면 연장을 요구한 바 있다.

문현금융중심지 내 신설기업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금융 산업의 서울 편중은 전주에 있어서도 최대 난제로 꼽힌다.

여의도 금융업계 관계자는 “싱가포르와 두바이 등 해외 금융중심지와 비교했을 때도 밀리지 않는 파격적인 혜택을 지방도시에서 제시할 수 있어야한다” 며 “강력한 인센티브와 세금감면, 도시 인프라 조성 없이 국제금융도시를 조성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박영호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장 규제완화가 금융중심지의 열쇠

박영호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장은 “전주가 기금운용본부의 물리적 이전에 그치지 않고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으려면 전주금융중심지 고유의 발전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그는 지방 금융중심지가 추구할 롤 모델을 다양화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싱가포르, 교통여건 조성은 독일의 함부르크, 외지인이 거주할 수 있는 정주여건과 파격적인 인센티브는 두바이를 봐야한다는 것이다.

박 센터장은 특히 “현대사회와 같은 고도화된 IT환경에서 물리적 위치는 과거와 같이 절대적 기준이 아니다” 며 “글로벌 금융기업에 매력적으로 어필하기 위한 전략을 기본으로 삼아야한다” 고 조언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