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자년 새해 전북일보 신춘문예에는 시 부문을 비롯하여 소설, 수필, 동화 등 네 장르에 750여 분들이 무려 2,000편의 작품을 응모하였다. 가히 물질만능 세상에서 인문학적인 가치나 철학이 미래세계의 청신호가 되고 지렛대임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것 같아 작은 희망을 걸어본다. 수필장르엔 217분이 500여 편의 작품을 출원하였는데 응모된 편수만큼이나 좋은 작품들이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당선작을 뽑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 많은 작품들을 천평칭(天平秤) 저울에 올려놓고 오랜 시간동안 경중을 전형(銓衡)하고 선후우열(先後優劣)을 가리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웠음을 밝히지 않을 수 없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필(隨筆)’이란 자의(字義)에서 보듯 수필은 ‘붓 가는 대로 쓴다’라는 장르적 자유로움만큼이나 ‘글쓰기가 어렵다’는 역설이 나오는 것이라 여겨진다. 우선 많은 작품 가운데 열 분의 작품 ‘호미론’, ‘망월굿’, ‘먼길 옷’, ‘나비물’, ‘낙타가시풀’ 등 25편 중에서 최종적으로 ‘망월굿’을 당선작으로 올려놓았다. 1년 중 정월 보름달이 제일 크다는 대보름날의 절정의례인 달집을 태우는 망월굿을 벌일 때, 작중화자인 작자는 ‘흥건하게 한껏 부풀어 오른 바다의 밀물처럼’ ‘내안의 무엇이 붉은 달빛’과 한 쌍의 짝이 되어 동대우(同對偶)의 수사(修辭)기교를 이루며 흘러내렸다.
가뭄이 심할 때 옛 사람들은 선명한 소녀의 개짐으로 깃발을 만들어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는 전통적 풍습을 이 작품 속에 끌어들였고, 엄마는 지저분하게 구겨진 소창생리대를 정성스럽게 싸서 뒷마당 한 쪽 진 곳에 땅을 파고 왕겨로 불을 피워 성인식을 치르듯 찬찬히 딸의 증거물을 소각하였다. 이러한 의례절차에서 ‘차고 기우는 달의 정기(精氣)를 받은 여인들은 달거리로 자신의 몸을 정화(淨化)시키고 잉태의 근원이 달과 여인의 신비로운 조화(調和)’에 있음을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풀어낸 점이 다른 작품들보다 돋보였다.
일찍이 루마니아의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는 달과 물, 여인이 3자간 생생력환대(生生力環帶)를 이루며 풍양(豐穰)과 산아(産兒), 건강(健康) 등에 부합된 생생력의 상징으로 인간의 숭앙대상이 되어왔음을 주장한 바 있다. 작자는 만월인 대보름달과 선홍의 달빛 같은 초경(初經)수와 비경(祕境)의 생산력을 지닌 여인의 3요소를 ‘망월(望月)굿’을 통해 인간 삶을 통찰(洞察)과 관조(觀照)의 과정을 끌어들여 심미(審美)적으로 담아내고 해석해내었다. 그럼으로써 이 ‘망월굿’의 작품은 수필장르만이 지니는 미학적 특장(特長)을 십분 잘 발휘했다고 평가되었으므로 당선작으로 선하는데 망설이지 않았다.
/전일환 수필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