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빛바래고 낡아 뜯겨진 달력이 하나 있다고 하자. 어떻게 그릴 것인가. 아니 그보다 먼저 어떻게 볼 것인가. 가슴 벅찬 나의 청춘을 잔혹하게 지워버린 세월의 무상함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감정의 증폭없이 보이는 그대로 그릴 것인가.
저 앞에 벌거 벗은여인을 인간이 발견한 최고의 아름다움으로만 볼 것인가? 누구를 위해서? 아니면 생긴 그대로 허리에, 턱밑에 세월의 찌꺼기처럼 올라붙은 삼겹의 군살을 그냥 그대로 객관적 눈으로 볼 것인가. 학자처럼 사유하는 눈으로 볼 것인가. 이도 아니면 일반대중의 현실적인 평범한 눈으로 볼 것인가.
한 시대, 한 공간의 한 가지 사물을 어떻게 보고 무엇을 느끼느냐에 따라 결과는 엄청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부르주아는 봉건제도를 파괴시키고 다시 프롤레타리아에 의해서 도전을 받는다 했다던가? 프랑스 대혁명 이후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전개되면서 미술인들 일각에서도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민주화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 상류사회를 형성했던 사람들이나, 귀족적 취미를 지향하는 획일성이나 공식적 상황의 추종에 빠져버린 아카데미즘은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한 시민계급에 의하여 그 논리적 가치를 도전받게 되었다. 이제 이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미술 양식은 우아하고 세련된 것이 아니라 충동적이고 통속적인 현실의 반영했을 것이며, 간접적인 우회가 아니라 실용적 결과를 중요시 하는 것이었다. 이런 일련의 사상들이 동조를 얻고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쿠르베(Gustave Courbet 1819-1877)의 작품 전시가 계기가 되어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사실주의(Realism)가 바로 그것이다. 그가 '돌 깨는 사람들'이라는 작품을 제작했을 때의 일이다. 지금까지 보아왔던 이상이나 상상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일상의 평범한 생활 단면을, 그나마 선택받지 못했던 사람들을 그린 것에 대해 의아해하는 사람들에게 “이 사람아, 그것은 내가 꾸며낸 것이 아니야. 내가 늘 산책할 때 그 불쌍한 사람들을 본다네. 그 상태에서 그 사람들의 인생이 시작되고 또 그렇게 인생이 끝난다네. 농부들은 내가 이 그림을 많이 그리는 것으로 아는데 그 이상의 그림을 어떻게 그리겠는가?” 라고 한 말은 그대로 그가 표현하고자 했던 사실주의적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