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시대적 지적 흐름 담아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조선 후기 지적 흐름을 살펴 본 영문 학술지 <한국학의 고찰>(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3년 6월호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조선 후기 중국을 통해 유입된 서양의 지식과 과학기술은 서학으로 점차 발전하면서 유교 중심 조선 지식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 줬다.
조선 지식인의 삶과 지식체계에 균열을 일으킨 동서양 문명의 충돌은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는 큰 파장으로 다가왔고 이에 대해 19세기 조선 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적 대응을 시작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담아 '19세기의 조선 유학: 도전과 대응'이란 특집 주제 아래 조선 후기 유교 전문 연구자 3명의 연구성과를 수록했다.
19세기 조선시대 서학에 관한 유학자들 간에 인식은 서로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성찰과 대응도 각기 달랐다.
일례로 영남 지역 남인은 경기 지역 남인의 우호적 해석과는 매우 다른 관점에서 천주학을 바라보고 비평했다.
그 과정에서 영남 지역 유학자들은 제사 의례의 핵심이 본인이 마음으로 이치를 깨닫고 도리에 맞는 대상을 공경하는 것이며 이치에 맞아야 신(神)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발전시켜 나갔다.
당시 서양 학문의 보급은 조선 지식인들의 삶과 그 사유체계를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했지만 유학자들에게 자신들의 신념과 가치를 반성하고 성찰하며 학문적 역량을 발전시키는 기회로 작용하기도 했다.
서학에 대한 영남 유학자들의 인식과 지적 대응에 대해서는 백민정 가톨릭대 교수의 논문 '19세기 영남 유학자들의 서학 인식과 대응: 상제와 천주, 혼(魂)의 제사 문제를 중심으로'를 통해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조선 유학과 서학의 만남은 독창적인 학문의 탄생을 이끌기도 했다.
19세기 조선 유학자 최한기는 서학 중에서도 서양 과학 지식에 깊은 관심과 흥미를 느껴 새로운 학문인 기학(氣學)을 창안했다.
최한기의 기학을 통한 19세기 조선 유학의 변화는 김선희 이화여대 교수의 논문 '최한기의 기학: 보편학의 제안과 동서지식의 융합'에서 관찰할 수 있다.
한국 근대 유교가 맞이한 시대적 전환 요구와 그로 인한 변화 방향은 이행훈 한림대 교수의 '한국 근대 전환기 유교의 역사적 의미론'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이번 호는 기존 조선 유학의 전통 담론만이 아니라 19세기에 유학이 직면한 도전과 이로 인한 변화와 대응을 탐구해 한국학의 범위를 확장했다.
조선 변혁기의 유학을 다룬 특집 외에도 미국 내 한국 문화재 현황을 다룬 리뷰 특집 '미국 현지 미술관들의 한국문화 컬렉션' 원고 4편과 연구논문 4편이 추가로 수록돼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