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임금 상승률 21년 1.8%, 22년 3.6%, 23년 2.5%
물가 상승률 2.6%, 5.3%, 3.3%⋯월급보다 물가 더 올라
작년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월평균 임금 327만1052원
제주(315만3209원) 다음으로 적어⋯서민 살림살이 '팍팍'
지난해 물가 수준을 반영한 전북지역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월급은 올랐지만 물가가 더 올라 근로자의 주머니 사정이 더 나빠졌다는 얘기다.
특히 전북의 실질임금 마이너스 현상이 수년째 계속되고 있어, 저임금 근로자를 위한 대책 마련 등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6일 전북일보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도내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액은 327만 1052원이다. 전년(319만 2759원)과 비교해 2.5% 올랐다.
지난해 전북의 임금 상승률은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1.0%), 경남(2.3%) 다음으로 낮았다. 지난해 전국 평균 임금 상승률은 3.4%였다.
더욱이 실질적인 경제 여건은 전북이 세종과 경남보다 열악하다. 지난해 세종의 월평균 급여액은 364만 7865원, 경남의 월평균 급여액은 364만 2465원이었다. 전북보다 월평균 급여액이 37여 만원 많은 셈이다.
특히나 지난해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로 임금 상승률(2.5%)을 0.8%p 상회하며 임금 인상을 무색하게 했다.
도내 물가 상승률과 임금 상승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이 같은 추세는 더 확연히 나타난다. 2021년 물가 상승률은 2.6%로 임금 상승률(1.8%)보다 0.8%p 높았다. 2022년 물가 상승률은 5.3%로 임금 상승률(3.6%)보다 무려 1.7% 높았다. 즉 3년 연속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실제로 받은 돈)에서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눠 구한다. 임금이 올라도 물가가 더 올랐다면 실질임금은 줄어든다.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해, 실질적으로는 임금 수준이 떨어졌다는 뜻이다. 근로자들 사이에서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웃돈 곳은 서울과 울산뿐이었다.
실질임금이 개선되지 못하면 서민 가계 부담은 물론 소비 위축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고물가 상황에서 실질적인 임금이 하락했다"며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