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청년정책 컨트롤 타워인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키로 했다. 감소세가 심각한 청년 이탈을 막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각 부서별로 흩어져 있는 청년정책을 일원화하고 체계적인 청년 지원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전주시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청년들을 주요정책의 대상으로 챙기겠다는 위기감을 반영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 하지만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한다고 해서 과연 청년인구 감소세가 줄어들까. 정책본부 신설과 함께 일자리 창출 등 보다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했으면 한다. 나아가 전주시뿐만 아니라 청년인구 유출이 더 심각한 전북자치도 차원에서 이를 함께 검토하면 좋을 것이다.
전주시의 청년인구 비율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주시 전체인구 가운데 청년인구(19∼34세) 비율은 2015년 21.75%, 2020년 21.05%, 2024년 20.07%를 기록했다. 청년인구 수는 2015년 14만1892명, 2020년 13만8407명, 2024년 12만7631명이었다. 2015년에서 2020년까지 3485명 감소한 반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1만 776명 줄어들었다. 최근 해마다 2000명 이상이 전주를 탈출한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전북자치도다. 지난 10년 간 전북을 떠난 청년은 8만여명으로 청년층 인구이동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청년 이탈을 막기 위해 지자체들이 전국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구담당관을 신설하거나 각종 용역 등을 시행하고 주거, 귀농, 학습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전주시가 국 단위의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한다면 다른 지자체에 견줘 파격적인 조치가 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기구를 만든다해서 그만큼 실효성이 있을까 하는 점이다. 또 자칫 선거를 의식한 보여주기식 행보여서는 곤란하다. 청년정책은 일자리와 교육, 주거, 금융, 문화, 복지 등 다양한 요소가 충족되어야 가능하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단연 일자리다. 양질의 일자리가 있으면 오지 말라고 해도 청년들이 몰려든다. 하지만 좋은 일자리 만들기는 말처럼 쉽지 않다. 도내의 경우 김관영 지사를 비롯해 14개 시군 지자체장들이 전방위로 뛰고 있으나 성과는 미미하다.
전주시의 의지는 좋다. 타지역의 모범사례를 참고하면서 전주만의 맞춤형 기구와 정책이 창출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