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02-04 18:48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유네스코에 신뢰를 묻는 이유

image

하시마(端島)는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항 남서쪽에 있는 섬의 본디 이름이다. 우리에게는 군함도(軍艦島)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군함도는 섬의 모양이 일본의 해상군함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것인데, 별칭은 또 있다. 들어가면 못 나온다고 하여 붙여진 지옥도.

사람이 살지 않았던 군함도는 19세기 후반, 미쓰비시 그룹이 석탄 채굴을 위해 개발하면서 탄광섬이 됐다. 일본의 대표적 전범기업인 미쓰비시는 선박운송업으로 출발했지만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탄광 분야까지 진출했다.

군함도가 탄광 사업으로 전성기를 구가했던 그 시기, 이곳에서 노역했던 노동자의 상당수는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이었다. 이들은 가스 폭발의 위험을 안고 있는 해저 1,000m 깊이의 좁은 막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혹한 시련과 고통을 견뎌야 했다. 자료에 따르면 1943년부터 3년 동안만도 이곳에 끌려온 조선인 노동자는 800여 명, 이 중 122명이 질병과 영양실조 등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1950~60년대 일본 석탄 업계가 침체하면서 탄광 사업은 몰락했다. 군함도도 1974년 결국 폐광됐는데, 이후 일본 정부는 다시 무인도가 된 이 섬을 관광산업에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 덕분이었을까. 군함도는 20157,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철강, 조선, 탄광에 끼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당시 우리나라는 산업혁명의 상징성만을 앞세워 군함도와 관련된 역사를 왜곡한 일본의 등재 신청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문제를 제기했다. 유네스코는 이를 받아들여 조선인의 강제노역 사실을 인정하는 내용을 적시할 것을 명시했다. 등재를 위해 지켜야 할 일종의 후속 조치였다.

그리고 10.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지난 131, 일본이 제출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관련 후속 조치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20239월, 위원회가 유산 등재 후속 조치에 대한 약속 이행이 중요하다며 일본 측에 제출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런데 내용을 보니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다시 원점, 변죽만 울린 형식적 조치가 더 큰 화를 돋운다.

지난해 세계문화유산이 된 사도 광산도 일본은 등재 당시 우리 정부가 제시했던 조건을 뭉개 버렸다. 함께 치루기로 했던 연례추도식조차 따로따로 치른 터다.

정부는 다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성실하게 이행하라고 촉구한 모양이지만, 상황이 썩 나아질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묻게 된다. 등재의 조건이자 약속을 지키지 않는데도 세계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는 여전히 유효한 것인가. 이쯤 되면 유네스코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가. 가치를 지키는 일, 신뢰가 먼저일 듯싶다./김은정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