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5 12:08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전북문화 마주보기] 문화예술상, 받을만한 사람이 받는가

‘상’은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 받았을때 비로소 빛을 낸다. 그러나 현실속에서 제대로 그 빛을 내는 상은 많지 않다. 시작은 좋았지만 가다가 취지가 퇴색해버린 상도 적지 않고 아예 상을 만든 의의가 전혀 다른 것으로 왜곡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상을 받고서도 주위로부터 축하나 격려보다는 형식적인 의례사나 아예 외면을 받는 상이 적지 않은 오늘의 현실에서 ‘상다운 상’을 만나기 어렵다는 하소연이 뒤를 잇는다.

 

상은 많지만 받는 사람이 새로운 경우도 드물다는 것이 한결같은 지적이다.

 

전북에는 문화예술인들에게 주어지는 상이 많다. 예나 지금이나 경제적 어려움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심심찮게 새로운 상이 만들어진다. 숫자로만 본다면 전북은 확실히 문화예술의 고장이랄 만하다.

 

현재 도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분야의 상은 25종이다. 공개되지 않고 동인들끼리 혹은 단체 안에서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 상까지 합한다면 수십종에 이른다. 전북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들 상은 대부분이 문화예술인들이 십시일반으로 기금을 만들고 운영하고 있는 상이다. 물론 기업들이 수익의 사회환원이나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제정한 상도 있지만 그 숫자는 미미하다. 분야별로는 문학이 단연 우세다. 순수하게 문학상으로 이름붙인 것만도 16종. 문화예술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문학인구가 많아서이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동인들의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셈이다. 그렇다고 다른 분야의 경우는 활동이 부진한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공연예술의 경우 그 활동이 활기를 띠고 있고 특히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쉴새없이 공연무대가 올려질 정도로 활동의 폭이 넓어졌지만 문학이나 미술에 비해 공연분야의 상은 거의 없다. 유일하게 상이 제정되어 있는 공연분야는 연극. 연극협회전북도지회가 뜻을 모아 만든 박동화연극상과 계원연극상이 전부다. 국악이나 양악, 무용 분야는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상이 단 하나도 없는 셈이다. 특히 국악분야의 경우 전통음악의 본고장임을 자랑스러워하면서도 그동안 국악상이 단 하나도 없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25종의 문화예술상이 문학과 미술 연극분야에만 치우쳐져 있는 것도 아쉽다.

 

그렇다면 이들 상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원래 상은 그 취지가 분명하다. 거개가 공통적으로 ‘해당 분야에 공로가 많은 사람’을 우선 자격으로 내세운다. 그러나 문화예술 분야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 상의 성격에 따라 그 대상이 확연하게 달라진다. 예술성과 활동 역량을 기준으로 선정하는 것이 상례지만 그 기준 자체가 주관적인 것이어서 선정과정에서 많은 잡음이 일기도 한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취지가 있다. 문화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북돋는다는 것이다. 창작활동에 힘을 주고 새로운 의욕을 불어넣는 격려야말로 예술인들에게는 가장 큰 선물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상들중 그 취지를 살려 제빛을 내고 있는 상은 드물다는데 있다.

 

많은 사람들이 현재 전북에서 운영되고 25종의 상 중에서 제취지를 살려내는 상은 몇종이나 되는가고 반문한다. ‘정작 받을만한 사람이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혹평도 서슴지 않는다. 공정한 선정과정을 거쳐 결정되기 보다는 돌아가며 타는 상이 훨씬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정실에 치우쳐 시상한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상은 적지 않다. 다른 사람을 배려해 만들어 운영하기 보다는 자기들끼리 나눠먹기식상을 양산한다는 비판도 높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기준을 근거로 결정되어야 하는데도 개인적인 친분에 의해, 혹은 순서대로, 심지어는 수상자 자신의 적극성(?)으로 결정되는 선정의 문제점은 이제 심각한 지경에 이르러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평가다.

 

문화예술분야의 상은 대부분 수상자 대상이 될만한 사람들이 운영위원으로 직접 참여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어나는 헤프닝도 적지 않다.

 

“어느 해인가는 이런 경우도 있었다. 그 상의 운영위원이 운영위원에서 일단 빠지더니 그해에 수상자가 되더라, 그리고 다음해 다시 운영위원이 되더라”한 예술인이 나눠먹기식 상의 일단을 그대로 전해주는 말이다.

 

문화예술상이 제 빛을 내지 못하는 배경에는 수상자를 ‘명망성’ 우선으로 선정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객관적인 심사기준이 모호해 늘 명망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그러다보니 순서대로 상을 받게 되는 관례가 되풀이 된다는 것이다. 한 개인이 여러종의 상을 섭렵하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상의 규모가 크건 작건, 그 성격이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것이든 아니든, 일정하게 연령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면 젊은 사람들이 수상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경우는 희박하다. 기준 자체를 그 상의 취지에 맞게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규정화해놓는 것이 객관성과 공정성을 얻어내는 기본이라고 전문가들은 제안한다.

 

상을 받기 위해 후보자가 직접 나서는 웃지 못할 헤프닝도 심심찮게 벌어진다. ‘찾아주는 상’을 내세우지만 상을 받으려는 후보자가 직접 찾아다니며 추천서를 받는 풍토도 예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은 셈이다.

 

시상제도의 문제점은 근래들어 큰폭으로 개선되고 있다. 찾아주는 상을 표방하는 시상제도가 늘고 있을 뿐 아니라 상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내는 규정을 명시, 최대한 상의 객관성을 살리는 노력이 더해지고 있는 것. 철저하게 운영위원들이 후보자를 찾아내고 심사위원들이 수상자를 선정하는 목정문화상은 이미 찾아주는 상으로 정착해가고 있는 대표적인 상이다. 여기에 전주시가 기존의 풍남문학상 대신 새로 만든 전주시 예술상도 찾아주는 상으로 새롭게 옷을 입어 환영을 받았다.

 

제 뜻을 살려내는 상이 하나둘 늘어가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