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곡식과 햇과일을 조상께 올리는 추석차례. 차례상은 정성스럽게 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분수에 넘치는 제수를 마련하거나 정성없이 소홀하게 차례음식을 준비하는 것보다는 형편에 맞게 차리되 정성을 담는 것이 으뜸이다.
차례는 가가례라해서 집안마다 지내는 풍속이 다르다. 따라서 형식에 얽매이는 것보다 예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검소하게 차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마다 지내는 차례지만 차례상차림은 번번이 헷갈리기 일쑤다. 차례상 차림의 기본을 박춘희예절강사의 도움으로 소개한다.
추석 차례상에는 밥(메) 대신 송편을 올린다. 요즘은 밥과 송편을 함께 올리는 경우도 있다. 떡은 썰지 않은 덩어리째 올리고, 삼탕(육탕 어탕 소탕) 삼적(육적 어적 소적) 삼색나물(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포(육포 대구포 북어) 유과류 과일 등을 형편에 맞게 준비한다. 차례음식에는 고춧가루와 마늘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에는 마늘을 쓰는 가정이 많다. 그러나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 것은 지켜지고 있다.
차례음식을 진설할때 맨 앞줄에는 과일, 둘째줄에는 포와 나물, 셋째줄에는 탕, 넷째줄에는 적과 전, 다섯째줄에는 송편과 시접, 잔반을 놓는다.
첫째줄에 놓는 과일은 ‘조율이시’와 ‘홍동백서’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감 배의 순으로 놓고 종류는 홀수로 한다. 사과와 포도 약과 등도 올릴 수 있다.
둘쨋줄의 나물과 포는 ‘생동숙서’ ‘좌포우해’에 따라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포는 왼쪽에 젓갈은 오른쪽에 놓는다. 포는 한가지만 올리면 되며, 나물은 삼색(푸른색 갈색 흰색)을 갖춰 한제기에 올린다. 나물은 주로 고사리와 무나물 숙주 시금치 쑥갓 등을 마련한다.
세번째줄에는 탕을 놓는다. 육탕 어탕 소탕을 한가지로 합한 합탕을 올리기도 한다.
네번째줄에는 전과 적 편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놓는다. ‘어동육서’ ‘두동미서’에 따른다. 전도 소전 어전 육전중 한가지만 올려도 무방하며, 적도 한가지로 줄이거나 합적할 수 있다. 어적으로 조기 찐 것을 놓기도 한다.
마지막 줄에는 송편과 시접 잔반을 놓는다.
◇ 차례지내기
가장 헷갈리는 것이 차례예법. 지역과 집안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집안어른의 뜻에 따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음식을 올리고 신위를 모신뒤 절을 하고 신위를 내리고 지방을 태우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은 공통이다.
차례는 일반제사와 달리 축문을 읽지 않고 술도 한번만 올린다. 절은 보통 신위를 모신뒤 술을 따른뒤, 신위 내리기 전 등 세번한다. 절은 남자자손은 2배, 여자는 2배반을 한다.
차례는 제수를 나눠 먹는 음복으로 끝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