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34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NIE
일반기사

커피 안에 담긴 일상

세계 커피 소비량 순위 6위, 국민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 약 512잔에 달하는 대한민국은 ‘커피 공화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커피 시장 규모가 큰 나라다. 2017년 전국 커피 취급점 매장 수를 조사한 결과 14만 개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시장 규모 역시 연간 11조 원 이상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커피는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품이자 문화가 되어버린 것이다.(출처 btn 뉴스)

△주제 다가서기

사회학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우리의 상상력 계발을 의미한다. 이는 자신이 친숙한 개인적인 상황을 벗어나 더 큰 맥락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사회적 행위와 문화적 특성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어느 특정한 행위도 다른 부분과 연관되어 있고, 따라서 종합적으로 현상을 이해해 보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 중 커피는 다양한 사회적 연관성이 깊은 상품이다. 커피를 통해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 보면서 기존에 단순하게 알고 있던 커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신문 읽기

<읽기자료 1>

500년 전 문화를 이끈 트렌드 세터들이 모였던 아지트의 이름, 커피 하우스

`커피 한 잔 하실래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이 인사는 단순히 `커피를 마시자`는 의미보다 함께 만나서 이야기하고 교류 하자는 사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커피 한 잔이 우리의 일상에서 사람을 연결하고 유대감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유독 커피가 이러한 요소로 자리잡게 된 것은 커피가 사람들의 영감을 불러 일으키는 풍미를 지니고 있음도 분명하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도 커피는 문화를 이끄는 선두주자 역할을 했다. 커피가 있었던 공간은 문화가 꽃피는 공간으로 발전했는데, 500년 전 `커피 하우스(Coffee House)`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오늘날 카페의 시초로 볼 수 있는 커피 하우스는 15세기 세계 최초로 이스탄불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서양에는 17세기 베네치아에 처음 들어섰다. 1500년대 이스탄불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며 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진 도시였다. 당시 `키바 한(Kiva Han)`이라는 이름의 커피하우스가 이스탄불에 최초로 들어섰는데, 그 분위기는 오늘날 힙한 카페들과 유사했다. 예술가와 정치가, 상인 등 당시 다양한 트렌드 세터가 이곳에 모여들었기 때문인데, 이들은 커피 한 잔과 함께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대한 열정적인 토론을 즐기곤 했다. 이렇듯 커피 하우스는 사교와 문화의 중심지이자 당시 트렌드 세터들의 특별한 `아지트`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커피가 유럽 대륙으로 전파되면서 커피 하우스도 함께 전파됐다. 17세기 미술과 음악의 고향인 베네치아에 들어선 유럽 최초의 커피 하우스 `카페 플로리안(Caffe Florian)` 역시 당시 문화를 이끄는 트렌드 세터들이 모여든 특별한 아지트였다. 현재도 운영되고 있는 이곳은 17세기 동서양 문화가 한데 어우러진 진취적이면서 창의적인 공간이었다. 이후 커피 하우스는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며 정치, 사회, 예술, 문화의 핵심 공간이 되었으며, 이러한 문화는 오늘날 카페 문화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프리미엄 커피 브랜드 네스프레소(Nespresso)의 한정판 커피 `커피 하우스`는 이 커피 하우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스탄불과 베네치아 커피 하우스의 힘찬 분위기와 창의적인 에너지를 담아, 소비자들이 커피 한 잔을 통해 역사적 이야기와 생생한 분위기를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캡슐의 디자인 역시 베네치아와 이스탄불의 전통 문양을 녹여 디테일한 부분까지 컨셉에 맞게 담아냈다. (출처 : 한국경제TV(2019.02.27. 500년 전 문화를 이끈 트렌드 세터들이 모였던 아지트의 이름, 커피 하우스, URL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2744815)

<읽기자료 2>

커피 한잔 한잔에 마음 쏟아부어…스타벅스 ‘공간’을 팔다

‘스타벅스 지수’라는 경제 지표가 생겨날 정도로 이제 스타벅스는 세계 소비자들이 매일 찾는 습관이자 기준이 됐다. 스타벅스가 업계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데엔 ‘커피 이상의 경험과 문화를 판다’는 슐츠의 경영 철학이 주효했다. 그는 저서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 신화(Pour your heart into it)’에서 “나는 모든 커피 한 잔 한 잔에 나의 마음을 쏟아 붓는다. 만일 지금 하고 있는 일에, 혹은 어떤 가치 있는 기업에 마음을 쏟아 붓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꿈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스타벅스는 ‘한 번에 한 사람씩, 한 컵씩 한 이웃씩 인간의 정신을 고취하고 양성하는 것’을 회사의 미션으로 삼고 있다. 환경 보호를 위해 매장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퇴출하고, 공정무역 커피를 판매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것 또한 이러한 경영 철학과 맞닿아 있다. 스타벅스가 단순히 커피전문점을 넘어 하나의 소비 문화가 되고 유독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많이 보유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출처 : 헤럴드경제 2019.02.22. / [세계의 기업가 ③하워드 슐츠 前 스타벅스 CEO] 커피 한잔 한잔에 마음 쏟아부어…스타벅스 ‘공간’을 팔다, URL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222000290)

<읽기자료 3>

1인당 512잔…영화시장 콧대 꺾은 커피

11조7397억원. 지난해 관세청이 집계한 국내 커피시장 규모다. 국내 게임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영화 시장(5조4888억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커피전문점 역시 2010년대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만2381개이던 것이 지난해는 8만5000여개로 4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한국인이 국내에서 마신 커피는 1인당 512잔. 대한민국이 ‘커피 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현실이다. 한자문화권인 중국 일본을 제치고 유독 우리나라에서 커피가 이처럼 사랑받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한국인만의 독특한 생활방식을 꼽는다. 바로 ‘빨리빨리’ 문화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노동시간이 긴 만큼 ‘아침부터 밤까지’ 일하는 한국인들에게 커피만큼 적절한 긴장과 활력, 즐거움을 주는 음료가 없다는 것이다. 커피의 주성분인 카페인이 인체에 일으키는 효과 말이다.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북동쪽 끝단에 위치한 에티오피아가 원산지라는 게 정설이다. 건조하고 햇빛이 강한 사바나성 기후대에서 자라는 이 열매가 어떻게 인간의 음료가 됐는지 정확한 기록이나 증거는 없다. 유력한 설이 에티오피아의 목동 칼디 기원설이다. 기원전 3세기 염소를 치던 칼디는 어느 날 얌전하던 염소들이 붉은 열매를 뜯어먹고 밤새 흥분한 걸 목격했다. 그는 근처의 무당에게 사실을 알렸고 이 무당이 붉은 열매가 정신을 맑게 하고 피로를 덜어준다는 것을 알고 졸음을 쫓기 위해 먹기 시작했다.

자양강장 약초로 여겨 음식과 함께 복용됐던 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예멘을 거쳐 중동지역에 널리 퍼졌다. 쓴맛을 덜어내기 위해 다양한 복용 방법이 고안됐고 그중 가장 좋은 방법이 커피체리의 과육은 버리고 씨만 꺼내 볶은 뒤 갈아서 뜨거운 물에 내려 마시는 것이었다고 한다.

커피는 주로 남위 25도∼북위 25도 사이의 커피벨트에서 자란다. 열대·아열대인 이 지역의 식물들은 커피의 카페인처럼 자기보호 항산화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원산지별로는 크게 아라비아카와 자바(로부스타) 커피로 나뉜다. 아라비아카는 에티오피아의 커피나무에서 추출한 원두로 기후조건이 비슷한 콜롬비아 브라질 에콰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등 중남미산이 주를 이룬다. 자바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인도로 들어와 현지 기후에 맞춰 일부 바뀐 커피나무에서 추출된 커피원두다. 다소 습한 열대지방인 인도 베트남 하와이 등지에서 추출된 원두다. (출처 : 국민일보 발췌 2018.11.10. / 1인당 512잔…영화시장 콧대 꺾은 커피, URL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31438&code=11131100&sid1=spo?)

<읽기자료 4>

커피콩에 파묻혀 일하지만 “우린 껍질만 끓여먹는 신세”

매일 전 세계 커피 애호가들의 입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이르가체페(예가체프)는 에티오피아 남부 깊은 산악지대에 숨어 있었다. 적도에서부터 북쪽으로 1000㎞ 지점에 있는 이르가체페는 낮 기온이 평균 30도를 웃돈다. 그러나 구름에 닿을 듯 고도가 높아 아침과 저녁은 서늘하다. 숲이 우거져 그늘이 깊고 우기에는 하루 세번씩 비가 오는 등 강수량도 풍부하다. 최고 품질의 커피 원두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천혜의 조건에서 이곳 사람들은 소외돼 있다. 이르가체페 협동조합은 한 해 커피콩 8t을 생산한다. 이 가운데 최상급인 3t은 에티오피아 상품거래소(ETX)가 1㎏당 428비르(1만6700원)에 사서 스타벅스·커피빈·네슬레 등 글로벌 기업에 되판다. 나머지 5t은 1㎏당 55비르(2160원) 받기도 힘든 저품질 커피콩으로 분류돼, 현지인들에게 돌아간다.

공정무역 단체인 옥스팜의 조사 결과가 보여주는 수치는 적나라하다. 커피콩 1㎏에서는 평균 200잔의 커피가 나온다. 스타벅스에서 파는 아메리카노 한잔 평균이 3달러(3200원)임을 고려하면, 커피콩 1㎏으로 64만원의 수익이 나는 셈이다. 로즈가 생산한 커피콩 가격의 38배다. 커피 한잔에서 커피콩 재배 농민들이 가져가는 이윤은 16.0원(0.5%)이다. 중간상이 내는 세금 등으로 41.6원(1.3%)이 붙는다. 비행기·배 등의 운송료는 140.8원(4.4%). 이윤의 대부분인 3001.6원(93%)은 가공·유통·판매 기업들 몫이다. (출처 : 한겨례 2018.05.21. / [평화원정대] 커피콩에 파묻혀 일하지만 “우린 껍질만 끓여먹는 신세”, UR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847377.html)

△생각 열기

<읽기자료1~4> 을 활용해 커피에 대해 알아보자.

- 시간적 관점

1. 커피 및 카페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2. 커피가 우리 삶 속 깊숙이 온 원인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 공간적 관점

1. 커피가 주로 재배되는 지리적 영역을 알아보자

2. 커피가 잘 자라기 위한 환경적 조건을 조사해 보자.

- 사회적 관점

1. “커피한잔 하자”라고 말 속의 사회 문화적 의미는 무엇일까?

2. 한국 사회에서 유독 커피가 인기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 윤리적 관점

1. 커피를 마시기까지의 유통 과정에는 문제가 없을까?

2. 공정무역에 대해서 조사해 보자

·비주얼씽킹 기법을 활용하여 커피의 “사회적 의미” 등 이미지와 텍스트로 본인의 생각을 표현해보기

·커피의 유통과정 등의 과제를 신문을 활용하여 스크랩한 자료를 정리한 후 인포그래픽으로 나타내어 보기

·세계 백지도를 활용하여 “커피벨트” 지역을 표시하여 공간적으로 이해하기

(예시) 아래 자료를 읽고, 세계 백지도에 커피 벨트 영역을 표시해보자.

<자료읽기>

‘커피는 남북 회귀선을 따라 이어진 주로 남위 25도∼북위 25도 사이의 커피벨트에서 자란다. 커피 벨트인 중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에선 다양한 풍미의 커피를 만날 수 있다. 브라질과 콜롬비아 등 중남미 지역의 원두는 고소함과 단맛의 조화가 특징이다. 최근엔 남미 지역인 페루의 스페셜티 커피가 국제 대회에서 수차례 1등을 수상하며 주목받고 있다. 페루는 같은 남미 지역보다 고지대에서 커피를 생산한다는 것이 특장점이다. 에티오피아와 케냐 등 고급 스페셜티 커피를 생산하는 아프리카 지역 원두는 풍부하고 다채로운 산미가 특징이고, 동남아시아 지역도 다크 초콜릿의 맛과 풍성한 바디감이 특징이다.’(출처:푸드매거진 2018.12.14.)

Image by OpenClipart-Vectors on Pixabay
Image by OpenClipart-Vectors on Pixabay

△생각키우기

·커피 사회학 : <읽기 자료> 를 통해 커피의 사회학적 의미를 생각해 보자

<읽기 자료>

한잔의 커피를 마시는 단순한 행위를 생각해 보라. 과련 사회학적 시각에서는 이처럼 일상적이고 단조로운 행위로부터 무엇을 발견할 수 있는가?

우리는 먼저 커피는 단지 음료만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커피는 우리의 일상적 사회 활동의 한 부분으로서 상징적 가치를 지닌다. 커피를 마시는 행위와 결부된 의례는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에게 아침에 마시는 커피는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개인적 생활 습관의 핵심이다. 그것은 하루를 시작하기 위한 필수적 첫 단계이다. 모닝 커피 이후에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커피를 마시는데 이것은 단순히 개인적 의례가 아닌 사회적 의례의 기초이다. 같이 커피를 마시기로 한 두 사람은 커피를 마시는 것 자체보다는 만나는 것과 대화를 나누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 한편 커피는 마시는 사람들은 전 세계로 뻗어 있는 복잡한 사회경제적 관계망에 얽히게 된다. 커피는 지구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와 가장 부자 나라 사람들을 이어주는 상품이다.

커피는 세계화, 국제 공정 무역, 인권과 환경오염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커피는 브랜드화 되고 정치화 되었다. 그리고 어떤 종류의 커피를 어디서 사서 마실 것인가에 대한 소비자의 결정은 생활양식에 대한 선택이 되었다. 이렇듯 사회학자들에게 커피를 마시는 것과 같은 아주 사소한 행위에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수 있다. (출처: 현대 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

/ 제작 = 전북사대부고 교사 노재현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교육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