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3 02:0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일반기사

금융중심지 지정, 전북에만 '높은 잣대'

은성수 금융위원장 "외국계은행 2곳 유치로는 금융중심지 지정 부족"
부산, 제2금융중심지 지정 당시 선지정 후인프라 구축…정부 전폭지원도

정부가 금융중심지 지정 과정에서 전북에 유독 높은 잣대를 대면서 자칫 전북만 손해를 보는 상황이 우려된다.

전북(군산) 출신인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서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이며,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은 위원장은“지난번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한)평가에서도 종합적인 인프라 구축을 보고 결정하자고 했고, (현재 유치한)수탁은행 2개 정도 보다는 더해야 할 것 같다”고 답변했다.

현재로서는 전북이 제3금융중심지로서 부족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금융위 산하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는 지난 4월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 평가와 관련해 “전북혁신도시는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라는 모델을 더 구체화해야 한다”며 “종합적인 정주(定住) 여건 등 인프라 개선도 필요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

추진위는 또 “(현재 금융중심지로 지정돼 있는)서울·부산이 금융중심지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내실화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권고했었다.

그러나 금융위의 태도나 발언 등 일련의 작업을 분석해보면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에 ‘이중 잣대’를 들이댔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009년 제2금융중심지로 지정된 부산은 혁신도시 계획과 맞물려 한국거래소가 이전하면서 선 지정 후 인프라를 구축했다. 당시 정부와 금융위는 기존 금융중심지 내실화를 근거로 서울과 부산에는 전폭적인 지원과 지지를 약속하고 이를 실천해나가고 있다.

부산은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이후 국제적 명성과 신임도가 높은 외국계 금융사 유치에 난항을 겪고 있다. 부산은 금융중심지로 지정되기 이전인 지난 1986년 4월에 부산에 들어선 일본 야마구치 은행과 일부 외국계 지점들이 있다.

반면 전북은 금융중심지 지정이 보류됐음에도 기금운용본부가 이전한 지 불과 2년 만에 세계 1~2위의 수탁은행 BNY멜론과 SSBT를 잇따라 유치했다.

국내 투자증권회사와 외국 자산운용사의 추가 진출도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기금운용본부가 소통하고 있는 금융사는 JP모건이나 골드만삭스 등 이름만 대면 알 만한 곳들이다.

결국 전북은 성장가능성 측면에서 부산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금융위는 유독 전북에만 높은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전북의 제3 금융중심지 지정을 약속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과도 배치된다.

부산의 금융중심지 활성화가 더딘것은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 논의와는 무관함에도 부산 정치권은 전북의 발목을 잡고 있다. 오히려 전북이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될 경우 금융산업 트라이앵글이 완성돼 부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분석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을 반대해오고 있다.

부산 정치권은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를 금융위가 따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세계적인 투자 귀재 짐 로저스 회장은 최근 전주에서 열린 2019 전북국제금융컨퍼런스에 참석해 “전주는 많은 돈과 힘을 가진 국민연금공단이 있는 도시다”며“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무한하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