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3 11:33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일반기사

‘수포자’ 만드는 수학교육, 해결 방법은?

조봉한 이쿠얼키 대표이사

조봉한 이쿠얼키 대표이사
조봉한 이쿠얼키 대표이사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교생의 기초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수학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타 과목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11.1%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이 발표한 ‘초?중학교 학생 50명의 성장 과정에 대한 연구’에서도 ‘분수’를 배울 때인 초등학교 3학년부터 수학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수학을 어려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이고 이를 개선할 방법은 없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수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수학은 고도로 추상화된 학문이다. 예를 들어 ‘사과 한 개와 배 한 개’가 있을 때 수학은 과일의 종류, 색깔, 크기, 맛 등 부수적인 것을 모두 걷어내고 ‘1+1’로 표현한다. 사물에 대한 묘사를 생략하고 숫자와 기호만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추상화된 수학을 가르치는 입장이 아닌 배우는 입장에서 생각해볼 필요는 없을까? 모든 것이 궁금하고 호기심으로 가득한 초등학교 시절은 아이들이 머릿속에 이미지를 그리며 상상력을 키워가는 중요한 시기다. 하루에도 몇 번씩 ‘왜’라는 질문을 반복하며 의미를 묻는 아이들에게 현재의 수학 교육은 무작정 공식을 외우도록 강요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 대신 반복적인 문제 풀이만을 강조한다. 즉, 사고를 통한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수 없는 환경에서 학습한 아이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학에 흥미를 잃고, ‘왜’라는 질문이 사라지며 결국 수학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더 심각한 문제는 수학이 단순히 시험 성적을 잘 받아 원하는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과목’이 아니라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기 위한 핵심 ‘학문’이라는 점이다. 2016년 스위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보고서 ‘미래의 직업’은 2020년까지 선진국 등 15개 국에서 710만 개 이상 일자리가 사라지는 반면에 새로 생기는 일자리는 200만 개에 불과하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새로 생기는 200만 개의 일자리 중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과 연관된 40만 50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측했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경쟁력이 되는 시대인 것이다. 이외의 많은 일자리에서도 수학의 필요성이 입증된 것을 보면,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사고의 근간이자 핵심은 바로 수학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수학 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 미래를 대비한 수학 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전문가와 교육자가 나름의 의견과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수학의 특성과 학습자의 관점, 그리고 이미 현실로 다가온 인공지능 시대를 감안해 수학에 대한 장벽을 무엇으로 낮추고,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수학을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구체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최근 대기업과 제도권의 교육 기관에서 수학 교육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 개발한 깨봉수학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며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 중인 것도 이러한 현실에서 기인한 것이라 생각한다.

분명한 것은 작금의 구태의연한 수학 교육을 계속 고수한다면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없을뿐더러 수포자가 늘어나는 현상도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진화하는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수학 교육에 대해 우리 모두의 인식과 패러다임을 하루라도 빨리 바꿔야 한다. /조봉한 이쿠얼키 대표이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