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4 07:4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문화&공감 2021 시민기자가 뛴다] ‘예술’을 통해 얻은 ‘안식’으로 우리의 일상을 다시 ‘회복’시키다

김효원 교동미술관 학예사

Restart(다시 시작하다)=Rest(안식)+Art(예술)

코로나19 이후 시시때때로 변화하고 있는 일상과 마주하고 있는 사람들.

이에 전국 곳곳의 박물관·미술관에서는 급변한 사회에 대응함과 동시에, 멈추어버린 생활과 제한된 일상 속 만남 등으로 지친 이들의 마음을 위로하고자 새로운 문화예술 향유의 방식과 예술 치유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5월 18일, 대한민국을 포함 한 150개 이상의 국가들이 ‘세계 박물관의 날’을 맞아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는 박물관·미술관의 회복과 이전과는 다른 생각으로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행사가 개최되었다.

 

2021 박물관·미술관 주간 ‘박물관의 미래 : 회복과 재구상’

문화체육관광부와 ICOM한국위원회(위원장 장인경)가 주최하고 국립박물관문화재단(사장 김용삼)이 주관한 박·미주간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참여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집콕 뮤지엄 여행 ‘뮤궁뮤진’, 일상에서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거리로 나온 뮤지엄’, ‘박물관의미래 : 회복과 재구상’ 주제 연계 프로그램, 전국의 박물관·미술관 명소를 찾아다니는 스탬프 투어 ‘뮤지엄 꾹’ 등이 있으며, 도내에서는 교동미술관(전주), 어진박물관(전주) 대한민국술테마박물관(완주) 등 다수의 박물관·미술관이 참여해 5월 14일부터 오는 23일까지 치유와 회복을 체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한다.

 

2021 교동미술관 기획전시 <경기전에 온 미술가들-리스타트 rest+art> 展

교동미술관에서 준비한 전시·특강·체험 프로그램 중 하나로, 5월 11일부터 5월 16일까지 진행 된 이번 전시에서는 강현덕, 고보연, 김수진, 김영란, 이일순, 정하영 미술가를 초대해,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 문제에 대한 화두를 던짐과 동시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예술을 통해 ‘치유’와 ‘회복’의 메시지를 담은 작품 30여 점을 선보였다.

 

-미술가 강현덕(독일 브레멘/함부르크 예술대학 졸업, 추계예술대 문화예술학 박사 졸업, 전북대 미술학과 졸업)

강현덕 '36.5', 설치, 회화, 드로잉, 전시장 전경사진
강현덕 '36.5', 설치, 회화, 드로잉, 전시장 전경사진

강 작가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일상이 크게 바뀌었다고 말한다.

“음식점에 들어서면 자연스레 QR코드 체크와 명부를 작성 하고 체온을 재는 일은 이제 일상이 되어버렸고 언제부터인지 그러한 일상에 익숙해져 갔다. 36.5˚. 항상 우리는 유지하고 있지만 열이 나거나 추위를 느껴야 소중함을 인지한다. 온도, 관계 모두 그렇게 일정한 거리나 온도를 유지해야한다. 어쩌면 우리는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의 소중함을 발견했지만 실은 항상 온도나 인간의 관계 등 적정선을 유지하고 있었고, 저온과 고온사이를 팽팽하게 유지해야만 이 세상을 더불어 순리대로 살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미술가 고보연(독일 드레스덴 미술대학 입체, 설치 Diplom, Meister, 전북대학 미술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고보연 '관계-그 이어져 있음', 천, 혼합재료, 바느질, 가변크기, 영상 2020~2021
고보연 '관계-그 이어져 있음', 천, 혼합재료, 바느질, 가변크기, 영상 2020~2021

고 작가는 ‘여성에게서 나오는 신체 언어’를 버려지는 천과 재료들을 이용해 여성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을 선보였다. 작가의 이번 작품에서 보이는 기다란 천 뭉치는 ‘어머니의 탯줄’을 의미한다. 일차적으로는 ‘어머니’와 ‘나’와의 관계이고, 이차적으로는 ‘나’와 ‘수많은 사람’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어머니와 내가 정신적, 심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듯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음을 수많은 탯줄의 선을 통해 말하고 있다. 더불어 이번 작품은 최재희(더 몸 대표) 안무가와 협업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여성이 경험하는 삶의 일련의 감정을 온몸으로 담아내었다.

 

-김수진(전북대 교육대학원 졸업, 전북대 미술학과 졸업)

(왼쪽) 김수진 '평범함의 자유', 43.0x47.0cm, 우드컷, 소멸판화기법 / (오른쪽) 김수진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43.2x51cm, 우드컷 소멸 판화기법, 2020
(왼쪽) 김수진 '평범함의 자유', 43.0x47.0cm, 우드컷, 소멸판화기법 / (오른쪽) 김수진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43.2x51cm, 우드컷 소멸 판화기법, 2020

김 작가의 작품 속 ‘우편의 그늘’은 가장 안전한 곳이다. 동시에 피난처이며 도피성이기도 하다. 도망 갈 길 없는 요즘 날 온전히, 오로지 피할 수 있는 곳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내 열심과 노력으로도 피할 수 없다. 일곱 개의 피할 길을 찾고 있다. 분명히 일곱 개의 피할 길이 있는데 그 길을 찾고 있는 과정중이다. 그런 곳이 바로 우편의 그늘이다. 반복되고 곳곳에 있는 형태는 항상 반복되며 치우지만 잠깐 안 치워도 순식간에 무질서가 쌓이는 일상과 같다. 안하면 안 되는, 꼭 있어야 되는, 있는 것 이다. 우편의 그늘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평안을 바라는 자가 쉴 곳인 것이다.”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평안.’ 이는 지금 우리 모두의 바람이 아닐까? 작가의 두 점의 판화 작품 속 명제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평범함의 자유’,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김영란(전북대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이화여대 서양화과 졸업)

김영란 '저 너머', 아크릴, 돌가루, 2021
김영란 '저 너머', 아크릴, 돌가루, 2021

“나의 작업은 끊임없이 교차되는 자연의 풍경으로부터 시작된다. 그것들은 서두르지 않으며 조용히 색을 변화 시키고, 모양을 변화시키며, 나아가 그것을 보는 나를 변화시킨다. 내 발바닥을 땅에 닿게 하고, 그들을 바라보게 하며, 조급함을 반사시켜 공중에 흩뿌리게 한다. 그리하여 그들의 시간을 나에게 보여주고 내 작업과 내 삶에 관하여 느리게 사는 연습을 시킨다.”

김 작가의 작업은 마치 현재 우리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서두르지 않고 너무 조급하지 않게 현재를 받아들이고 이에 맞추어 조금씩 변화해간다면 언젠가는 우리의 일상도 자연스럽게 제 자리로 돌아와 있지 않을까.

 

-미술가 이일순(전북대 대학원 미술학과 박사과정 수료, 전북대 미술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이일순 '아는 사람', 100x100cm, 캔버스에 아크릴, 2021
이일순 '아는 사람', 100x100cm, 캔버스에 아크릴, 2021

무어라 딱 꼬집어 말할 수 없는 이상을 좇으며 오랜 시간을 달려 발걸음이 더욱 더뎌질 즈음 만난 그 사람들. 이 작가의 작품 ‘아는 사람’은 ‘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 존재들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내 안으로 조여들며 극도의 긴장으로 뾰족해진 나를 그들의 길고 짧은 견인의 힘이 더 이상 조여들지 않게 잡아주었다. 아니, 이미 그들의 견고한 결속이 이렇게 온전하게 존재하도록 붙들고 있음을 느꼈다.” 이어 “과거에는 먼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의 나를 무한 단련시키는 것이 미덕이었다면, 요즘은 아픈 상처의 치료를 미루지 않고 수고와 노력에 작은 보상을 하며, 지나면 다시 올 수 없는 현재를 잘 살아내자는 것이 미덕이 되었다. 작품을 통해 매일 매일의 삶을 아끼고 사랑하는 이들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려 한다”고 말했다.

 

-미술가 정하영(전북대 미술학과 한국화전공 및 동 대학원 조소전공 졸업)

정하영 'present',  케이블타이 외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9.
정하영 'present', 케이블타이 외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9.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해먹’에 대해 떠올리면 보통 편안한 쉼과 잠을 연상시키는 것이 대부분의 생각일 것이다. 하지만 정 미술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이 노란 해먹은 밝고 평화로워 보이지만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가시가 돋친 듯 왠지 모를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이 해먹에 쉽게 몸을 맡기기엔, 설령 누워도 쉽게 잠을 청하지는 못할 것 같다. 작가는 말한다. “‘여성의 삶’ 또한 보이는 것과 깊이 들여다봤을 때가 다르듯이 보이는 모습은 각기 다 다르지만 서로 소통하다 보면 공감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즘 같은 팬데믹 시대에 보이는 것 보다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심을 갖고 가까이 있는 누군가에게 따듯한 말 한마디 건네 보는 것은 어떨까?”

 

코로나 19, 팬데믹(Pandemic) 이후를 바라보는 예술가들의 시선을 바라보다.

예술가들의 시선이야말로 동시대를 살아감과 동시에 이를 기록할 수 있는 역사적인 시선들이 아닐까. 코로나19 이후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편안하지만 편안하지 않은 우리네 일상을 바라보는 여섯 명의 예술가들의 시선을 만나보았다.

김효원 교동미술관 학예사
김효원 교동미술관 학예사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