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7일 장미 한 단 1만 5195원
생산비 폭등에도 난방 멈출 수 없어
"꽃 키우기 위해선 일정 온도 유지해야"
3년 만에 마스크 없는 졸업식, 입학식 등 2월 대목을 맞아 특수를 기대했던 화훼농가들이 빠른 속도로 악화하는 화훼 시장에 위축되는 모습이다. 생산비의 폭등에서 오는 경영 부담이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면서 꽃을 찾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aT) 화훼유통정보에 따르면 13∼17일 장미 한 단(10송이 묶음) 평균 판매가는 1만 5195원으로 전년(1만 573원) 대비 43.7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스·전기요금 등 에너지 가격·공공요금 급등에 자재비, 인건비 인상까지 겹치면서 소비자 가격이 인상된 것이다. 특히 화훼농가는 꽃을 키우기 위해서 밤낮으로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되는 생산비에도 난방을 멈출 수가 없다.
화훼농가 대다수는 생산비의 30%가 냉·난방비로 쓰였을 때 힘들다고 표현한다. 30%를 넘어섰을 때는 생산비가 아닌 화훼농가 개인 소득에서 지출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여러 화훼농가는 냉·난방비를 줄이기 위해 보온재를 사용하는 등 여러 시도를 해 보고 있지만 너무 오른 생산비에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다는 반응이다.
3300㎡ 규모의 육묘장에서 장미를 가꾸는 농업회사법인 로즈피아는 공공요금만 전년 1월 대비 1200만 원, 2월 대비 1100만 원 올랐다.
고경남 로즈피아 이사는 "벌써 여름철이 걱정이다. 겨울에는 저녁에만 난방하면 되는데 여름이 오면 밤낮으로 종일 냉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보다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며 "꽃이 즐거움을 주는 것이 아닌 돈의 가치로 먼저 생각하게 되는 상황이 돼서 마음이 좋지 않다. 지금의 꽃이 비싸다는 인식이 그대로 굳힐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화훼농가는 전기로만 온도를 맞추고 있지만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화훼농가 농민은 "이전에도 지금처럼 난방비가 올랐을 때가 있었다. 그때는 우리 농가도 어마무시하게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 그래서 그 뒤로 전기로 바꿔서 온도를 맞추고 있다. 그래도 지난해 비해서 2배 넘게 나왔다. 500만 원 정도 나왔다"고 하소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