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2:23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재·학술
자체기사

[후백제 학술 대토론회] 기조발제 - 견훤과 후백제의 역사인식, 다시 생각하다

-송화섭 전 중앙대 교수∙후백제학회장
편찬자 김부식 삼국사기 견훤전서 "후백제 왜곡" 지적
"'부끄러운 후백제' 아닌 '자랑스런 후백제' 만들어가자"

image
송화섭 전 중앙대 교수∙후백제학회장.

전북일보사가 주최하고 후백제학회 주관으로 열린 후백제 학술토론회에서 기조발제를 맡은 송화섭 전 중앙대 교수 겸 후백제학회장은 편찬자 김부식이  '삼국사기' 견훤전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송 교수는 '견훤과 후백제의 역사인식, 다시 생각한다'를 주제로 열린 기조발제에서 김부식은 스스로 내용이 부실해 '삼국사기'가 사고에 보관할 거리가 못된다는 것을 실토하면서 삼국사기의 자료에 대한 신빙성을 떨어뜨렸다고 지적했다. 특히 '후백제 연구'는 전적으로 삼국사기를 원전 사료로 활용해 연구하고 국사교과서를 기술하였는데 내용이 부실해 한국사 연구의 부실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결국 삼국사기 견훤전 내용은 사실(史實)이고 허구(虛構)인지 확인이 불가능한 허잡한 역사서가 되고 말았다. 그러면서 김부식은 사관(史官)이 아닌 신하(臣下)로서 삼국사기 편찬을 주도했다며 편협적인 역사 기술과 왜곡을 비판했다. 

이어 견훤은 신라하대 말세의식이 팽배하는 상황에서 민중봉기를 일으켜 무진주(현 광주)를 습격하고 스스로를 왕으로 일컬었으나 광주·전남의 지역세력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후 "백제의 역사와 정신을 잇겠다"는 명분으로 전주에 도읍지를 정했다. 특히 백제가 금마산에 개국한지 600년이 되었고 의자왕의 숙분을 풀어주기 위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해야 한다고 했다. 

견훤이 완산주를 후백제의 치소로 정한 것은 첫째 익산 백제의 역사와 정신을 이을수 있는 곳이라는 점과 전남지역 영산강유역을 대체로 수로 해상교통로를 대체할 해륙교통로의 여건을 살핀 것이다. 통일신라말 당시 만경강을 통해 완산주는 바다와 연결된 수로교통이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었고 고부군에 속한 줄포만도 해상교통의 요충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고대사에 고조선의 역사가 마한으로 이어진다는 학설이 '삼한정통론'인데 한국의 역대 국왕가운데 스스로 투철한 역사관과 역사계승의식을 가지고 이를 선언한 사람이 견훤왕이 유일하다.

견훤왕은 삼한통합을 꿈꾸었던 왕으로 후백제의 건국이념을 확고히 정립하고 전주에 도읍을 정했던 것이다. 이후 삼국통합은 전략적으로 추진되고 신라 경주를 습격하고 고려 수도 송악까지 진격하는 등 승승장구했지만 견훤의 후백제는 삼한통합을 눈 앞에 두고 왕건의 음모에 후백제가 멸망했다.

송화섭 교수는 "전주는 후백제 왕도이고 조선왕조의 본향이다. 후백제 왕도세력들이 조선왕조를 일으켰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후백제가 없었다면 조선왕조도 없었다고 단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도시가 왕도∙왕조의 역사와 기운이 깃든 곳은 전주 밖에 없다고 했다.

하지만 전주사람들이 견훤왕과 후백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자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견훤왕은 삼한정통론(三韓正統論)을 정립하여 투철한 민족의식과 국가관을 가졌으며 삼한정통론을 바탕으로 삼한통합을 성취하려고 국력을 번창시켰다.

견훤왕은 위대한 통치자이며 후백제는 자랑스러운 중세국가를 지향했다.

송 교수는 "이보다 더 좋은 문화콘텐츠는 없다"고 반문하며 후백제촌에서 조선왕조촌으로 이어지는 역사관광타운을 조성하는 것이 완산주의 정체성을 살려내는 일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주시장과 행정가들이 후백제 역사문화권 정비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되었기 때문에 이제부터라도 '부끄러운 후백제'가 아니라 '자랑스러운 후백제'를 다시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견훤 #후백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