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발전을 도모하자면 구체적인 사업 계획과 시행 가능성을 따져 보기 마련이다. 지역발전에는 구체적인 청사진이 필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지역환경과 이를 지원해줄 중앙 정치권 및 정부와의 연계-협조가 필수적이다. 이 점에서 국토의 종합개발 계획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국토연구원이 전북의 미래 청사진과 관련된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가 없다.
전주를 중심으로 한 5개의 통합 개발권과 ㅁ자형 개발축을 골격으로 한 공간개발이 전북의 장기 발전 방향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는데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높은 지역주민들로서는 이에 기대하는 바 크다.
국토연구원이 최근 전북도에 제출한 제3차 전북도 종합발전계획에 대한 중간용역보고가 전주시의 지역 중심성의 강화나 전주시·완주군을 중심으로 한 5개 통합개발권의 중첩개발 모형을 제시한데 대해서도 지역주민 모두가 어느 정도 수긍하는 입장에 있다.
중심대도시권, 국제생산-교역권, 생태영농-복합휴양권, 산악청정-휴양권, 전통문화-관광권 등의 설정은 따지고 보면 하나 하나가 소중하고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모델이 제대로 적용되고 구현되기를 기대할 따름이다.
전북도가 건의한 전주-군장권, 서남부 관광·문화권, 동부레포츠·청정산업권 등 3개 개발권을 세분화한 것으로 전주시와 완주군이 핵심 거점이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모델이다. 그러기에 전주·익산·군산의 집중화 현상을 해소하고자 ㅁ자형 개발축 설정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다.
개발지역이나 도시화가 추진되고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집중 및 주변부화 현상을 고려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개발의 뒤안 길에서 전북이 상대적으로 왜소해지고 한국사회에서 주변부로 전락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기에 괜찮은 청사진을 눈앞에 두고도 한편으로 걱정이 앞서는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제대로 지역발전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청사진 못지 않게 이를 지원해줄 만한 정부 의지와 정치권의 지원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실 그동안 청사진이 잘못되어 지역의 발전이 더디었던 것은 아니다. 인구의 유출이 지역의 경제력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정치력마저 약화시키지 않았던가. 중앙정부로부터의 수십년 낙후에 대한 보상책과 지역균형발전 지원책을 확보하지 못하는 한 지역의 장기발전 계획은 그야말로 청사진에 그치고 만다는 것을 관계자들은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 점에서 장기발전에 대한 최종 보고서는 약화된 정치력과 경제력까지 회복시키는 구체적인 것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