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7:37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한옥(韓屋) - 장세균

 

전주 한옥 보존지구에 국내 관광객과 외국 관광객도 제법 많아졌다. 단독 주택 시대가 가고 아파트 문화가 정착되면서 한옥에 대한 이해 부족이 많다. 민속촌에나 가보아야 한옥의 개념을 접할 정도이다.

 

우리 전통가옥의 특징은 온돌방, 낮은 담장, 높은 대문, 마루, 많은 창문을 들을수 있다. 옛날의 우리는 중국과 달리 방에서 앉아서 밥 먹고 생활하는 좌식(坐食)문화이었다. 우리 전통 가옥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장혜영씨는 그가 쓴 '한국 전통문화의 허울을 벗기다'에서 보여준다.

 

한옥 대문은 대부분 꼬불꼬불한 길 뒤편에 자리잡고 있는 이유는 우리 마을이 주로 산비탈이나 골짜기에 위치해 있어 길이 꼬불꼬불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낮은 담장은 중국 가옥의 높은 담장과 대조적이다. 중국은 널따란 평야 지대에 집이 있어 외부로터 강한 비바람, 또는 이방인으로부터 방어를 위해서 높은 담장이 필요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은 마을위치가 산악이나 계곡에 있어 외부인으로부터 자연 방비가 가능했기에 담장이 낮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한옥 담장이 낮은 이유를 우리의 좌식생활, 그리고 온돌생활과도 관련시킨다. 온돌은 여름에도 뜨겁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풍이 잘되기 위해서는 담장이 낮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옥이 온돌로 인한 통풍 환기가 중요했다면 중국가옥은 반대로 황야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는 방풍(防風),보온을 위해 중국 가옥의 담장이 높다는 것이다.

 

거기에 중국의 널따란 평야는 이동의 편리를 가져와 이방인들이 많게되어 방비 차원에서도 담장은 높아져야 했다고 한다. 한옥의 특징중의 하나인 '마루'는 좌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공간이 '마루'인데 다른방으로 이동할때 마루를 통과하면 신을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피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혜영씨는 한옥의 낮은 담과 외부에 공개돤 마루는 자기 아닌 타자(他者), 즉 남을 너무 의식하면서 살게 만들었다고 해석한다.자기 개인만의 밀폐된 공간이 없기에 중국처럼 사고의 심오성과 독립성이 저해 받았다고 해석한다.이런 해석도 우리것에 대한 새로운 평가 작업의 하나이다.

 

/장세균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