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5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익산
일반기사

미륵사지 석탑 부실복원 논란 "객관적 검증 필요하다"

감사원과 문화재청 상반된 주장에 혼란
미륵사지 석탑 안정성·역사성 검증 필요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부실 복원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감사원과 문화재청이 상반된 의견을 내놔 논란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전북과 익산의 정체성이자 자존심인 미륵사지 석탑의 복원이 잘못되었다는 감사원과 석탑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역사적 가치 보존을 함께 고려했다는 문화재청의 주장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감사원 ‘부실 복원’

감사원은 국보 11호인 미륵사지 석탑의 보수 복원에 대한 적정성을 지난해 9월부터 약 한 달간 감사인력 10명을 투입해 집중 감사했다.

감사결과 문화재청은 1998년부터 2018년까지 20년간 225억원을 투입,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사업을 펼치며 원형대로 복원하기 위한 사전검토를 거치지 않고 일관성 없이 축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국내 최고·최대 석탑의 상·하부 형태가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달라졌다. 또한 축석방식을 변경하고도 설계도서 없이 검증되지 않은 적심부 충전재를 사용해 구조 안정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미륵사지 석탑의 3층 이상은 구조계산을 거치지 않고 설계도서조차 없이 축석됐다. 아울러 충전재는 강도가 높은 실리카퓸을 설계해놓고 이보다 강도가 낮은 황토 배합 충전재를 사용하기도 했다.

감사원은 문화재청에 강도가 낮은 문제와 구조계산 등을 거치지 않고 축석된 미륵사지 석탑에 대한 구조안정성 검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라고 통보했다.

 

△문화재청 ‘안정성 확보했다’

문화재청은 감사관과 문화재청 차장이 참석한 가운데 감사위원회 의결까지 거친 결과에 반발하며 감사에서 지적된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선 미륵사지 석탑의 상하 적심의 구성이 달라진 것은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역사적 가치 보존을 위해 고려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당초 설계가 신석재의 과다 사용으로 역사적 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택이었다는 해명이다. 이런 방식의 선택은 전문가 자문과 문화재위원회의 검토도 받아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충전재의 강도가 낮아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실리카퓸보다 성능이 낮지만 흙이나 석회보다 안정적이며, 기존 흙과 유사해 문화재에 가장 적합하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석탑의 변위가 전혀 없는 등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지만 감사결과에 따라 구조적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감사원·문화재청 ‘검증 필요’

세계문화유산인 미륵사지 석탑 복원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면서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감사원의 감사결과는 미륵사지 석탑 보수복원이 설계도서 없이 적심의 구조가 달라진데다 강도가 낮은 충전재가 활용돼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으로 압축된다.

반면, 문화재청은 적심의 구성이 달라진 것은 석탑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역사적 가치 보존을 함께 고려한 결과이고, 배합 재료 변경도 석탑의 구조적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세계문화유산을 부실복원했다는 오명을 씻기 위해서라도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마백문화연구소 최완규 소장은 “보수복원 과정에서 현장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고 그렇게 했을 것이라 믿는다”면서도 “그러나 잘잘못은 분명히 따져야 하고, 객관적인 검증 결과를 내놓아야 국보 11호의 자존심을 지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