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작고 문학인 세미나’
11일 최명희문학관, 김승종·변화영·장윤준 박사 발제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이 11일 오후 4시 최명희문학관에서 전북 작고 문학인을 기념하는 세미나를 연다.
올해 주목한 문학인은 전주 출신인 최명희(1947∼1998), 유기수(1924∼2007) 소설가, 유년부터 청년까지 전주와 익산에서 자란 하근찬(1931∼2007) 소설가다.
최명희는 전주와 남원을 배경으로 쓴 장편 <혼불> 을 비롯해 전주천과 소리꾼을 테마로 한 장편 <제망매가> , 경기전을 공간으로 삼은 단편 <만종> 등 전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여러 편 남겼다. 만종> 제망매가> 혼불>
의사와 문학인의 삶을 살았던 유기수는 1968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호로 박사’가 당선되면서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민족통일문학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평생 ‘통일 지향 문학’에 매진했다.
소설 <수난 이대> 로 유명한 하근찬은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지만, 익산과 전주에서 자랐다.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후 궁벽한 농촌을 배경으로 민족의 비극과 사회의 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수난>
문학박사 김승종·변화영·장윤준 씨가 세 작가에 대해 각각 발제를 맡았다.
김승종 전주대 교수는 ‘최명희 소설 <혼불> 의 장소성과 전주정신 정립’을 주제로, ‘꽃심’이 전주 정신의 핵심이 된 과정과 의의를 살펴본다. 혼불>
변화영 박사는 유기수가 남부군 핵심 간부들의 증언을 토대로 쓴 장편소설 <빨치산> 을 분석하고, 장윤준 박사는 하근찬의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성과 민중의 모습을 다룬다. 빨치산>
토론에는 문신 우석대 교수, 신귀백 익산민예총 회장, 최명표 문학평론가, 한정훈 문학박사가 참여한다.
최기우 최명희문학관장은 “작고문학인세미나는 학술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의미보다 최명희·유기수·하근찬 세 작가의 이름을 다시 부르며 삶과 작품을 기억하고 전라북도 문학의 힘을 느끼는 시간”이라고 소개했다.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은 2007년부터 신석정(1907∼1974), 박동화(1911∼1978) 등 삶과 글이 진실했던 작고 문학인을 기념하는 세미나를 진행해왔다. 이 자리는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문의는 063-284-0570.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