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4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라감사 100인 열전
일반기사

[전라감사 100인 열전] 부자간에 전라감사를 지낸 함부림과 함우치

이동희(전 전주역사박물관장, 현 예원예술대학교 교수)

함부림과 함우치는 부자지간으로 아버지 함부림은 정종 2년에, 아들 함우치는 세조 7년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였다. 함부림은 신흥세력으로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개국공신 3등에 책봉되었으며, 8도 감사를 두루 역임하고 형조판서에 올랐다. 형조의랑으로 삼척에 파견되어 왕씨일족을 제거하였고, 1차 왕자의 난 때 방석을 세자로 옹위했다는 혐의를 받고 파직되었다. 함우치는 성종 즉위후 좌리공신 4등에 책봉되었으며 형조판서에 올랐다.

 

△ 개국공신에 책봉, 왕씨 일족 제거

함부림 묘소
함부림 묘소

함부림(咸傅霖)은 고려말 공민왕 9년(1360)에 태어나 조선초 태종 10년(1410)]에 졸하였다. 그의 본관은 강릉이며, 자(字)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그의 아버지는 검교중추원학사 승경(承慶)이다. 함부림의 동생 부열(傅說)은 조선건국에 반대하였으며 공양왕 묘소 아래에 묻혔다.

함부림 출생에 관해 개국 공신인 정도전, 조영규, 하륜 등과 함께 차씨 집안 서녀(庶女)의 자손들이고, 이런 출생을 감추기 위해 하륜 등이 차원부와 그 일족 70여명을 죽이고 해주 신광사에 보관되어 있는 차씨족보목판을 불태웠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이것이 차씨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함부림은 고려말 우왕 11년(1385)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검열(藝文檢閱)에 등용되었다. 고려말 무신들이 궁내의 세력을 믿고 문신들을 멸시하였는데, 함부림은 조금도 굽히지 않고 무신들과 맞서다가 파직되었다. 공양왕 4년(1392) 태조를 추대하는 모의에 참여하여 예조의랑(議郞)에 발탁되고, 개성소윤으로서 개국 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태조 3년(1394) 4월 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해 관원들을 삼척, 강화, 거제도에 보낼 때 함부림은 형조의랑으로 삼척에 파견되어 이 일을 주도하였다.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은 삼척으로 배소를 옮겼다가 이 때 두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 공양왕의 묘소는 고양에 있지만 삼척에도 있다.

 

△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품

함부림은 정종 2년(1400) 1월 24일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다음해 태종 1년 3월까지 재임하였다. 재임기간이 1년 2개월 정도 된다. 태종 1년 1월에 다시 안렴사제로 돌아가 조휴(趙休)가 전라도안렴사로 제수되었으나 부임은 3월에 하였다. 전라감사 재임 중에 그는 <석전의식(釋奠儀式)> 간행을 추진하여 후임인 조휴와 전주판관 허조(許稠)에 의해 간행을 보게 되었다. 권근의 『양촌집』에 <석전의식> 의 발문이 전한다.

<용재총화> , <연려실기술> 등에 전라감사 때 기생과 얽혔던 일화가 전한다. 그가 젊었을 때에 화류계에서 방랑하였으나, 직무에 임해서는 신중하였고 일을 잘 처리하였으며, 전라감사로 선정을 베풀어 소문이 자자하였다. 전주기생을 사랑하여 한양으로 올라가면서 호패를 주고 몰래 따라오라고 하였다. 기생이 전주부윤 이언에게 이를 고하고 하직인사를 올리니 이언이 함부림을 절조 있는 선비로 여겼는데 하품의 인물이라고 욕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모두 함부림의 솔직함을 좋아하고 이언의 빡빡함을 비웃었다.

<태종실록> 에 실려 있는 그의 졸기에 전라감사로서 치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있다. 그의 성품을 논하면서, “함부림은 강직하여 지키는 바가 있고, 조정에 서서 과감하게 말하고 업무 처리에 민첩하여, 이르는 곳마다 직책을 잘 수행하였다. 경기, 충청, 전라, 황해 도관찰출척사와 동북면 도순문찰리사를 역임하였는데, 청렴결백한 것으로 자임하여 감사의 위엄을 떨치고, 일찍이 굽히거나 흔들리지 않으니, 부내(部內)가 두려워하고 복종하였다.”라고 하였다.

18세기 이덕무의 『청장관전서』에 보면 8도의 감사를 모두 지낸 사람은 함부림과 반석평(潘碩枰) 두 사람뿐이라고 하였다.

 

△ 방석을 세자로 옹립했다는 혐의로 파직

태종 2년(1402) 도관찰사제가 복구되면서 충청도 관찰사에 임명되었다. 태종 3년(1403) 예문관 제학에 임명되고, 이어 참지의정부사에 제수되어 명성군(溟城君)에서 동원군(東原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함부림은 태종 5년(1405) 대사헌으로 있을 때, 앞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과 더불어 왕자 방석을 옹립하였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태종 10년 형조판서에 임용되었으나 곧바로 파직되어, 그해 51세로 죽었다. 그는 태종 10년에 정몽주의 행장을 지었다.

 

△ 쓸쓸했던 말년

김제시 진봉면 두곡서원
김제시 진봉면 두곡서원

그의 말년은 쓸쓸했다. “함공이 만년에 병이 잦았다. 4남 1녀로 딸 하나가 있었는데 딸이 먼저 죽었다. 이때에 술과 여자를 멀리하여 첩도 두지 않았다. 아들들은 외방에 나가고 집안에 돌봐줄 사람이 없자 식사의 공궤를 거르는 일이 여러 번 있기에 이르렀다. 전에 친하였던 여의(女醫)가 이 소문을 듣고 찾아가 보니 공이 남루한 옷을 입고 초석(草席)에 길게 누워 있는데 다만 하인 한사람만이 곁에 모시고 있을 뿐이었다. 여의가 말하기를 ‘어르신 같은 호걸이 어찌 이와 같이 곤궁하게 되었습니까’하니 공이 한 마디 말도 없이 똑바로 쳐다보면서 눈물을 흘릴 뿐이었다.” <용재총화> 와 <연려실기술> 에 전하는 일화이다.

그의 묘소는 서울시 강동구 고덕중학교 운동장 부근에 있다가 고덕지구 택지 조성사업으로 1982년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 산 105번지로 옮겼다. 여기에는 그의 부조묘도 있다. 함부림은 김제시 진봉면 두곡서원에 정몽주, 강원기와 함께 배향되었는데, 1970년에 서원을 복설하면서 배향에서 빠졌다.

함부림 묘소
경기도 이천시 함부림 묘소

 

△ 그의 아들 함우치

함우치(咸禹治, 1408~1479)의 자는 문명(文命), 호는 송담(松潭)이다. 문음으로 벼슬에 나와 고부군수, 나주목사, 동부승지, 함길도감사, 대사헌, 충청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세조 7년 7월 9일에 전라감사에 부임하였으며 이듬해 5월 15일 대사헌이 되어 상경하였다. 부자간에 전라감사를 지낸 사례 중의 하나이다.

전라감사 재임시 중국에서 귀환한 사람들을 전라도로 보내어 거주하게 하였는데, 이들 중국인들에게 생활의 방편을 마련해 주고, 혼인을 시켜 주는 등 잘 돌보아 주었다. 전라감사 역임후 대사헌, 경상감사, 형조참판을 지내고 성종 즉위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좌리공신 4등에 책봉되어 참찬으로 전보되었다. 시호는 평양(平襄)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