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1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산업·기업
일반기사

전북 산단의 미래,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최근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 쇠퇴에 따른 변화 요구 전북 수소·전기차 등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산업 변화 필요
대개조 사업 목표 달성 위해 기술혁신 산업고도화, 일터혁신과 인력양성, 환경·에저지 관리 및 공간혁신 등 3개 전략 일궈내야
“전문가 등과 함께 혁신계획 추진단 꾸려 대개조 산업 성공 위해 노력”

(왼쪽) 군산 국가산단 / (오른쪽) 완주 과학산단
(왼쪽) 군산 국가산단 / (오른쪽) 완주 과학산단

전북이 정부의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 사업에 선정된 가운데 수소·전기차 등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산업단지로 변신을 위해서는 세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 전북 산업단지의 현주소

전북에는 88개 산업단지에 약 310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하지만 이 중 군산 국가산단의 경우 조성된 지 37년이나 지나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익산 제2일반산단과 완주 과학산단 역시 조성된 지 각각 34년, 24년이 됐다.

심각한 노후화로 기업들은 산단 입주 기피는 물론 전북의 산단을 떠나는 실정이다.

특히 생산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요하게 여겨지는 스마트 시스템을 갖추기에는 군산, 익산, 완주 등의 산단에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해 전북의 산업이 뒤쳐지는 상태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그간 도에서는 산업 환경 개선을 위해 시도를 했지만 땜질식 처방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산업단지 대개조 프로젝트로 이어지게 됐다.

 

△ 전북 산업단지 대개조 주요 내용과 과제

전라북도 산단 대개조 사업의 비전은 산업단지 혁신으로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최근 기후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상태다.

도는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만으로는 더 이상 약진이 어렵다고 판단, 전북을 수소·전기차 등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산업으로 탈바꿈하고자 했다.

군산 국가산단에서는 상용모빌리티가 만들어지고 여기에 익산 제2일반산단과 완주 과학산단에서 관련 부품을 조달, 새만금 국가산단의 실증화를 이루는 연계 산단으로 전북 산업을 변화하게 된다.

총 39개 사업 4945억 원 규모의 개별사업이 추진되며 기존의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을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산업으로 30% 전환하고 수출 비중을 10% 높이는 게 목표다.

문제는 이 같은 변화에 있어서 단순 업체들의 지원을 통한 체질 변화뿐만 아니라 정주여건 개선,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등의 부가적인 정책 추진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 스마트제조 시스템 운영 인력 확보가 관건

도내 기업이 스마트제조 시스템을 도입하더라도 관련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인재가 부족하다. 또 관련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관 및 스마트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기관도 전무한 상태로 생산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기업들이 변화된 산업 시장에 대응하려고 해도 각각 개별 대응해야 하다 보니 기술혁신과 산업고도화 등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결국 이 같은 부분들을 보완해야만 전북이 추구하는 미래형 상용모빌리티 산업단지 구축에 성공을 할 수 있다는 과제가 남은 것이다.

양선화 전북도 투자금융과장은 “전북의 성공적인 산업단지 대개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혁신과 산업고도화, 일터혁신과 인력양성, 환경·에너지 관리 및 공간혁신 등 3개 전력을 마련하고 잔력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도와 관련 시·군은 물론 연구기관과 기업,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혁신계획 추진단’을 꾸려 사업이 전문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산업단지 #모빌리티 산업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