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19:51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노동·노사
자체기사

"신 노년세대 몰려온다" 수요층 바뀌는데 일자리 수준은 제자리

사업 수요층 기존 노년세대에서 신 노년세대로 변화
기존에는 저학력·저소득, 지금은 고학력·고소득 많아
사업, 기존·신 노년세대 욕구 충족시키기에 역부족

image
노인 일자리/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전북지역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지난 해 기준 29만 1000명인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11만 3000명으로 2배 넘게 차이 나면서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거 세대보다 학력 수준·전문성이 높은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가속화되면서 노인 일자리 사업도 수요층의 특성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사업의 수요층은 기존의 노년세대였지만 신 노년세대로 바뀌고 있다. 기존의 노년세대는 먹고살기 바쁜 탓에 저학력에 저소득 직종에 종사한 사람이 많았다면 신 노년세대는 고학력에 고소득 직종에 종사한 사람이 많은 편이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단순노동에 가깝고 월급도 적어 기존의 노년세대, 신 노년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기존의 노년세대는 실질 소득을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고 신 노년세대는 실질 소득보다 사회에 기여하는 일자리를 원하기 때문이다.

올해 전북도에서 추진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량은 6만 8900여 명이다. 이중 쓰레기 줍기, 잡초 제거, 노인 말벗 등 단순노동이 주를 이루는 공익형 노인 일자리만 5만 6500여 명으로 사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월급은 겨우 27만 원으로 한 달 생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비교적 전문성이 필요하고 월급이 높은 사회서비스·시장형은 인원은 적게는 2700여 명, 많게는 8000여 명으로 공익형에 비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 꾸준히 변화에 맞게 노인 일자리 사업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점점 공익형 일자리는 축소되고 사회서비스·시장형 일자리는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근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과 강지성 책임연구원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 특성 및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해 노인 일자리 사업 기존 방식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이 단순 업무와 복지 중심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서 노인인구의 질적 변화에 따라갈 수 있는 일자리 사업으로 다양화·다각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노인 일자리 사업이 기존 방식대로 운영될 경우 사업 참여자의 다양한 욕구와 일자리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스매치 현상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며, 신 노년세대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도 기술 발전, 디지털 전환 등 변화에 부응해 새로운 일자리의 발굴과 확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했다.

한편 노인일자리 사업은 △공익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 △인력파견형사업단 △시니어인턴십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인 일자리 #노인 #고령층 #노년세대 #시니어 #일자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