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완주문화재연, 현장설명회 통해 출토 유물 등 공개
그동안 땅 속에 잠들어있던 ‘잃어버린 왕국’ 마한의 역사와 숨결이 차츰 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오전 11시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의 한 야산.
이날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자문위원 및 지자체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에 대한 학술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를 통해 2차 발굴조사 성과를 일반에 공개했다.
원상운 고분군이 자리한 이 일대는 지난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기 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사이인 원삼국 시대 30기의 분구묘(墳丘墓)와 163기의 매장시설 등이 발견된 상운리 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전북의 마한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만경강 유역권의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자문위원들은 기존에 조사된 3세기부터 4세기 상운리 고분군과 동일한 구릉 내 자리한 원상운 고분군이 마한 수장층의 무덤으로 판단됨에 따라 향후 그 규모와 분포 등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2차 발굴조사 기간이 오는 7월 21일까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원상운 고분군의 보존 대책과 관리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울러 유적의 보존을 고려해 파괴를 최소화한 방법으로 남은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도출됐다.
이번 자문회의를 통해 문화재 보존 차원에서 국가문화재인 사적 지정을 추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을 끌기도 했다.
무엇보다 이날 참석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건 완주 원상운 고분에서 출토된 '장경평저호(長頸平底壺)'란 유물이었다.
마한문화권 유물로는 출토사례가 드물다는 장경평저호는 목이 길고 바닥이 편평한 항아리 모양을 나타냈다.
최인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장은 "완주, 전주일대에서 주로 출토된 특수 기형의 마한 마한문화권 토기인 장경평저호는 지역색이 담겨 있다"며 "토기를 통해 전통 매장 문화를 확인하고 마한 지역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