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3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노동·노사
자체기사

공정무역 조례 제정 7년, 어디까지 왔나...아직도 관심↓

'최초' 의미 무색하게 공정무역 관심·참여 저조
페어카페 비중도 기관은 전주시설공단 1곳이 전부
"민간·기관 모두 함께 공정무역 활성화 동참하길"

image
전북 공정무역 콘퍼런스에 전시된 공정무역 제품/사진=박현우 기자

전북도가 공정무역 관련 조례를 제정한 지 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관심과 참여가 저조하다.

공정무역은 생산·소비자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착한 소비'다. 쉽게 일반 커피의 수익 구조 중 생산자에 해당하는 농민 수익이 전체의 0.5%밖에 되지 않지만, 공정무역 커피는 농민 수익이 6%에 달한다.

이렇듯 중간업자보다는 수익 구조를 개선해 생산자의 노동에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면서 소비자에게 조금 더 좋은 제품을 공급하는 윤리적인 무역을 의미한다.

앞서 전라북도는 2017년 11월 수도권 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전라북도 공정무역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전주시는 2021년 9월 비수도권 최초로 한국공정무역마을위원회로부터 공정무역도시를 인증받았다.

'최초'라는 의미가 무색하게 도내 공정무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전라북도 공정무역 지원사업 공모 지원율도 낮다. 민간단체·기관 등이 한두 군데밖에 지원하지 않아 재공고를 내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았던 전주시만 봐도 공정무역 협력업체 수는 겨우 30여 곳(2021년 기준)밖에 되지 않는다. 전북소비자정보센터가 지난 7월 중순 함께하는 착한 소비 문화를 정착하고 가까운 곳에서 공정무역 제품을 만날 수 있는 우리동네 페어카페 제도를 도입하면서 14곳이 추가 가입하는 등 40여 곳으로 늘어났다.

페어카페의 비중은 카페·호텔이 13곳, 기관이 1곳이다. 기관 1호점은 전주시설공단이다.

카페·호텔 등은 공정무역 커피를 판매할 경우 이윤이 많이 남지 않아 어려움이 분명하다. 반면 비교적 이윤이 아닌 단순히 커피 섭취에 그치는 기관 역시 일반 커피 원두를 공정무역 원두로 변경하는 일이 쉬운 편이지만 많은 기관이 동참하진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 전북소비자정보센터는 7∼8일 제5회 전북 공정무역 콘퍼런스를 열었다. 7일에 진행된 공정무역 간담·토론회에서는 우리동네 페어카페 운영 고충·소감과 공정무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페어카페 1호점 카페 리젠을 운영하는 김현준 대표는 "카페에서 원래 사용하던 커피 원두를 바꾸는 일은 쉽지 않다. 한 달에 한 번씩이라도 공정무역 원두를 사용하는 날을 정한 이유이기도 하다"면서 "커피 한 잔을 마시면서 조금이나마 공정무역 가치를 이해·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페어카페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원 수가 많지는 않지만 도내 곳곳에서도 공정무역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민간·기관 할 것 없이 모두 함께 공정무역 활성화를 목표로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김보금 전북소비자정보센터 소장은 "부엌에서 세계를 볼 수 있다는 말이 있다. 그런 것처럼 카페에서도 세계를 볼 수 있다. 커피 한 잔으로 노동권을 존중할 수도 있고 수익은 크지 않지만 의미 있는 행동이다"면서 "앞으로 전주시 사회적경제 박람회나 도내 행사 시 공정무역 부스를 요청하거나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