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군산해수청이 선석의 유지준설과 관련, 군산항의 실정에 맞는 조치를 시행키로 해 이목을 끌고 있다.
심각한 토사매몰현상에 신음하고 있는 부두운영회사(이하 하역회사)로 하여금 임차 부두의 선석 준설에 직접 나서도록 표준 임대차 계약서를 변경키로 했기 때문이다.
부두운영회사란 소정의 임대료를 납부하고 정부로부터 부두를 빌려 하역업을 영위하는 회사를 말한다.
군산해수청은 기존 임대차 계약서에 "하역회사는 항만운영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 정부 예산에 의한 임대부두의 전면 준설이 어려울 경우 비관리청 항만개발사업으로 준설을 시행하고 투자비 보전을 받을 수 있다"는 조항을 삽입해 명시했다.
해수청은 이와관련, 이달말 임대기간이 만료되는 CJ대한통운, 세방, 한솔로지스틱스 3개 하역회사에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계약서를 적용, 임대 기간을 연장키로 했다.
이같은 조치는 정부의 유지준설예산으로는 도저히 준설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군산항의 특수성을 감안, 하역회사들의 비관리청 항만준설공사를 통한 선석 준설로 효율적인 항만운영을 도모해야 한다는 항만업계의 의견이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군산항은 금강하구둑의 준공이후 토사매몰현상이 심각하다. 정부로부터 매년 배정된 유지준설예산은 미미해 항만의 경쟁력은 갈수록 추락했다.
항만내 매몰토사 연간 300여만 ㎥의 1/3만 준설되고 나머지는 계속 쌓여 수심은 갈수록 악화됐다.
배의 밑바닥이 뻘에 얹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대형선들이 입항을 기피하고 있다. 물동량의 유치에 고충을 겪는 하역회사들은 임차 부두의 준설을 해 달라며 아우성이었다.
그러나 해수청의 이번 조치로 준설과 관련, 정부에 매달릴 필요가 없게 됐다. 정부 예산이 부족하면 하역회사들이 직접 임차부두의 선석 준설에 나서고 투자비를 보전받으면 된다.
CJ대한통운, 세방, 선광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들 3개 하역회사가 모래, 시멘트, 국제여객, 돌핀을 제외한 항내 28개 상업부두 중 89.2%인 25개 선석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전체의 75%인 21개 선석을 현실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CJ대한통운과 세방이 주도적으로 비관리청 항만준설공사에 나서야 한다는 점이다.
이제 군산항의 발전은 하역회사들이 임차 부두의 선석 준설에 얼마나 적극성을 보이느냐에 달려 있다.
정부가 준설 의무를 제대로 이행치 못하면서 임차부두의 선석 준설과 항만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공은 하역회사에게 넘어왔다.
그런만큼 CJ대한통운과 세방, 선광은 항만물류협회차원에서 다른 하역회사들과 머리를 맞대고 모든 선석의 일시(一時) 비관리청 준설공사 시행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각 하역회사별로 준설 공사에 나설 경우 부두 규모에 따라 계획 수심이 다른 인근 부두에서 준설을 하지 않으면 효율성을 도모할 수 없는 만큼 일괄적인 준설 방안을 마련, 공사를 시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럴 경우 설계비는 물론 준설선의 회항비 등 준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특히 하역회사들이 적극적으로 비관리청 항만준설공사에 나설 수 있도록 도내 정치권은 물론 전북특별자치도와 군산시도 독려하고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향후 군산항의 발전은 하역회사들의 어깨에 달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