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기업 이미지에 눈치 보는 모양새···언제까지?
"지자체 지역주도형 사업능력 안 되면 차선책 찾아야"
새만금개발공사 사업 수행능력 갖췄고 적극적 분위기
속보= 새만금 수상태양광발전사업이 터덕거리면서 새만금에 약 2조 원의 투자 계약을 맺은 SK E&S의 사업 포기 움직임이 관측되는 가운데 조속한 사업 추진을 위한 구원투수로 새만금개발공사가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7일자 1면 보도)
새만금개발공사는 지자체가 지역주도형에서 손을 뗀다는 전제하에 이 사업의 위탁 수행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2022년 12월 새만금개발청과 SK E&S는 데이터센터(새만금산단 5공구) 및 창업클러스터 입주(새만금산단 2공구)를 위한 '사업 계약'을 맺었고, SK E&S는 투자 조건으로 200MW 규모의 투자유치형 수상태양광사업을 인센티브로 받았다.
그러나 사업 주체(새만금개발청, 전북도, 군산·김제시, 부안군, 한수원)간 계통연계(전기수송 설비) 비용 분담금을 놓고 이견을 보이며 기업에 투자 철회 빌미를 주고 있다. 새만금지역에 계획된 지역주도형(400MW)과 투자유치형(500MW) 태양광사업이 함께 추진되지 못하면 계통연계가 불가능해 SK E&S의 수상태양광사업 추진도 사실상 불가능해서다.
SK E&S는 사업 지연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현재 200억 원 이상 투입 주장)에도 새만금개발청과 맺은 ‘사업 계약’의 구속력과 지역사회 여론 및 기업 이미지 악화를 우려해 공식적으로는 계약 파기를 거론 못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SK E&S가 언제까지 기다려 줄지는 미지수다.
실제 SK E&S 측에 따르면 애초 이 사업에 참여할 때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명분에 사업 참여를 결정했지만, 공기업과 달리 사기업은 시간이 ‘돈’이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며 하염없이 기다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SK E&S 입주가 걸린 수상태양광사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음에 따라 군산시∙김제시∙부안군∙전북개발공사가 각각 100MW씩 추진하는 지역주도형과 SK E&S의 200MW를 제외한 나머지 300MW의 투자유치형 사업 주체를 새만금개발공사에 맡겨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역주도형 사업자 공모에서 부안군은 두 차례, 김제시는 한 차례 유찰됐으며, 군산시는 이제서야 사업자 공모에 들어갔는데 우선협상자가 선정된다는 보장이 없고, 투자유치형도 SK E&S 이외의 나머지 300MW 규모의 우선협상대상자가 취소됐거나 소송 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상태양광 1·3공구 사업을 통해 사업 수행 능력을 보여준 새만금개발공사를 통해 좌초 위기에 놓인 수상태양광사업을 정상 궤도에 올려놔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사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관계자는 “우선협상자가 취소된 투자유치형에 대해 새만금개발공사가 대체 수행하는 방향으로 결정 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전북자치도가 전북개발공사를 통해 자체 추진하기로 한 지역주도형(100MW 규모)도 전북개발공사가 난색을 보여 새만금개발공사와 접촉하고 있는데 긍정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군산·김제·부안군이 수행하는 지역주도형은 공모 절차를 거친 뒤 사업수행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다음 달 말까지 정리하고 새만금개발공사와 논의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새만금개발공사 관계자는 “새만금청에 사업 참여에 대한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며 “지역주도형 지자체 공모(부안군 2회 유찰, 김제시 1회 유찰, 군산시 1회 공모 중)에 사업자 선정이 안 될 경우 각 지자체가 사업을 포기하고, 양해 각서 등을 작성하면 상생 방안과 해당 부지에 대한 개발 방향 등 구체적 사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새만금개발공사는 육상태양광 1·3공구 사업(1공구 지분율 27.18%, 3공구 지분율 13%이내 참여 협약) 공모를 통해 사업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으며, 육상태양광 1·3공구는 2022년부터 발전소를 가동 중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