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뒤적입니다.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히 여기는 마음, 또는 그런 일”이 ‘사랑’이네요. 아주 먼 옛날 어쩌면 꿈결이었습니다. 젊은 아버지는 일곱 살 어린 나를 앉히고 가 갸 거 겨를,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이르고 일렀지요. 국민학교 입학을 앞둔 2월, 아직 농사철이 아니라지만 대처에 품을 팔아야 했던 아버지는 1+1은 2, 1+2는 3을 채 못 가르쳤지요.
첫사랑, 외사랑, 내리사랑……, 사랑은 모두 바보 셈이지요. 고꾸라진다는 걸 뻔히 알면서 기꺼이 두 눈이 멀고, 불에 덴 자국 평생 지워지지 않을 줄 알면서도 대답 없는 메아리에 목을 매지요. 깨진 독 막아줄 두꺼비도 없이 평생 물 길어다 붓는, 영영 빵점 셈을 하지요.
한창인 나팔꽃을 따라가 보니 잎사귀가 하트네요. 1+1은 0, 1+2도 0, 사랑은 바보 산수라고 따따따 나발 부네요. 먼 옛날 젊은 아버지가 가르쳐 주시지 않은 건, 영 맞지 않는 셈이기 때문이었네요. 그래요, 사랑은 하나뿐인 제 심장을 꺼내주는 일이지요. 도르르 덩굴손 움켜쥐어 허공에 꽃 한 송이 피워내는 일이지요. “장년에 이를 때까지 사랑을 미뤄 온 사람은 비싼 이자를 지불해야만 한다”, 아테네 극작가 메난드로스의 말입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