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18:48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외부기고

[2024 전주세계소리축제 리뷰] 축제는 관객의 것

image
서정민갑 대중음악의견가

공연을 볼 때 안 좋은 습관이 있다. 자꾸만 관객의 시선이 아니라 기획자의 시선으로 보게 된다. 비평가이기도 하고, 업계에 오래 몸담았기 때문에 생긴 직업병 같은 게 아닐까. 무대 위의 예술가가 펼치는 연행에 몰입하면서도 기획자가 어떤 의도로 공연을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떠나질 않는다. 왜 세상 많은 예술가 중에 이 예술가를 선택했고, 세상 많은 이야기 중에 이 이야기를 골랐는지 따져본다. 기획자의 의도 안에 흥행을 위한 고민이 얼마나 들어있고,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노력은 얼마나 녹아있는지 헤아려 본다.

자본주의 사회의 예술은 예술가의 순수한 창작욕구만으로 완성되지 못한다. 예술가도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예술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축제는 더더욱 그렇다. 대부분의 축제는 표방하는 주제와 컨셉트가 있지만 그 주제와 컨셉트만으로 축제를 채우기는 불가능하다. 흥행해야 하고 수익을 거둬야 한다는 사명 앞에서 자유로운 축제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2024 전주세계소리축제 둘째날 저녁 7시부터 10시 반까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에서 열린 ‘소리썸머나잇 DAY2’ 공연도 마찬가지였다. 

만원의 티켓 가격을 받는 공연에는 젊은 국악그룹 국악 이상이 출연하고, 강은일 해금플러스가 그 뒤를 이어받았다. 마지막 출연진은 글렌체크와 타이거 디스코였다. 수천 명의 관객이 운집할 수 있는 야외공연장에서 공연을 펼친 의도는 소리썸머나잇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관객들이 모이는 장을 열기 위해서이고, 다른 공연보다 역동적이고 활기찬 사운드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국악 이상, 추리밴드, 삼산 같이 주목할 만한 전통음악 단체를 소리썸머나잇에 배치해 소개하면서, 젊은 음악 팬들에게 사랑받는 글렌체크와 타이거 디스코를 통해 축제의 온도를 펄펄 끓어오를 때까지 끌어올리려는 의도였음이 분명하다. 강은일 해금플러스의 공연을 통해서는 원숙하고 모던한 크로스오버 음악을 펼쳐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지향을 분명히 하려던 게 아니었을까.

이 같은 의도는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했다. 이날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을 찾은 관객은 공연장을 완전히 다 채우지 못했다. 한국 전통 음악계에서 손꼽히는 연주자인 강은일에 밴드 신에서 이름난 글렌체크에 타이거 디스코까지 무대에 올랐지만 그들의 이름만으로는 열대야에 지친 관객들을 이곳까지 끌어내지 못했다.

그럼에도 무대 위의 예술가들은 굵은 땀을 닦지도 않고 노래하고 연주하고 뛰었다. 국악 이상은 보컬 신예주의 매력을 싱그럽게 발산하며 공연의 문을 열었다. <리듬 속에 그 춤을>을 비롯한 기존 곡과 창작곡을 이어 들려준 국악 이상은 전통음악에 친숙하지 않은 관객들까지 들썩거리게 하기 충분했다. 남다른 개성을 창출하는 대신 누구에게나 통할만한 연주와 퍼포먼스를 보여준 40분은 전통음악에 기반한 크로스오버 음악의 매력과 한계를 정직하게 노출했다. 

강은일 해금플러스는 국악 이상이 달군 무대를 선선하게 식혀주었다. 서정적이면서 폭이 넓은 연주는 묵묵히 앉아있는 것처럼 보였던 관객들에게 길고 진한 박수를 계속 끌어냈다. 다만 무대 위의 연주자들이 관객들의 마음을 더 흔들 수 있도록 눈빛과 표정으로 교감했다면 이따금 자리를 떠나는 관객의 수가 줄어들었을지 모를 일이다.

밴드 글렌체크와 디제이 타이거 디스코의 공연은 사실 한국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전주세계소리축제에서는 다소 이질적인 존재였다. 그래서인지 여느 대중음악 페스티벌 무대에 섰을 때보다 훨씬 관객 수가 적었다. 글렌체크의 멤버들이 좀처럼 멘트를 하지 않고 연주와 노래에만 집중한 이유도 그 때문이었을까. 좀 더 명료한 사운드로 가득 찼으면 좋았을 공간은 밴드의 매력을 완전히 부각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전주세계소리축제에 어울리지 않는 공연이었을지 모르겠다는 의심이 확신으로 바뀌어 가던 공연의 종반부에서 젊은 관객들이 모조리 일어나고 무대 앞으로 몰려나왔다. 그때부터는 다른 대중음악 페스티벌과 별 다를 바 없는 풍경이 펼쳐졌다. 노래를 죄다 따라 부르고 몸을 흔들었다. 타이거 디스코의 디제잉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축제는 관객의 것이었다. 기획자의 의도를 알든 모르든 그 순간 전주세계소리축제는 관객들의 환희가 되고 땀방울이 되고 추억이 되었다. 제각각의 감동을 안고 돌아가는 관객들이 있으니 축제는 다시 이어질 것이었다. 우리는 내년에도 설레며 전주에서 만날 수밖에 없다.

서정민갑 대중음악의견가는

2004년부터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광명음악밸리축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Red Siren〉 콘서트, 〈권해효와 몽당연필〉 콘서트, 서울와우북페스티벌 등 공연과 페스티벌 기획/연출/평가도 병행한다. 『그렇다고 멈출 수 없다』, 『음악열애』, 『누군가에게는 가장 좋은 음악』, 『음악편애-음악을 편들다』, 『밥 딜런, 똑같은 노래는 부르지 않아』를 썼으며, 『대중음악의 이해』, 『대중음악 히치하이킹하기』,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는 함께 썼다.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음반 리뷰』,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음반 인터뷰』, 『레전드 100 아티스트』, 『음악과부도』, 『나쁜 장르의 B급 문화』, 『한국대중음악명반 100』도 거들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4 #전주세계소리축제 #소리썸머나잇 #리뷰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