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20:05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학·출판
자체기사

산과 강에 뿌리내린 삶과 문화유산 기록…신정일의 신 택리지 '산과 강의 풍수'

<신정일의 신 택리지> 열 번째 시리즈이자 완결편 '산과 강의 풍수' 출간
산과 강의 정신적·물질적 의미와 생명력 멋진 서사로 꿰어내

image
신정일의 신 택리지 '산과 강의 풍수' 편 표지. 사진=교보문고 제공 

책을 요약하자면 이렇다. 남북으로는 백두대간부터 땅끝 해남까지, 동서로는 울릉도와 안면도까지 그리고 바다 건너 제주도의 한라산 백록담까지. 도보여행가 신정일 작가의 발길과 눈길이 닿는 모든 곳에 얽힌 지리와 사람들의 이야기다. 

1980년대 중반부터 우리나라 전 국토를 두발로 걸어온 도보 답사가 신정일 작가는 크고 작은 400여 개의 산을 오르고 남한의 8대강과 영남대로, 삼남대로, 관동대로 그리고 동해 해파랑길을 따라가며 곳곳에 있는 문화유산과 땅에 뿌리내린 삶을 만났다.  

그렇게 수십 년간 우리 땅 구석구석을 걸어온 그는 자신의 경험과 방대한 독서량을 무기로 2019년부터 <신정일의 신 택리지>(쌤앤파커) 시리즈를 펴내기 시작했다. 책은 서울, 경기, 전라, 북한, 제주, 강원, 경상, 충청, ‘명당과 길지’ 편까지 우리 땅의 역사와 인문 지리학적 통찰을 녹여낸 종합 교양서로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image
신정일 문화사학자·도보여행가. 사진=전북일보DB

전국 방방곡곡을 직접 걸으며 완성한 도보 답사기 <신정일의 신 택리지> 시리즈의 열 번째 책이자 완결편 ‘산과 강의 풍수’가 최근 출간됐다.

저자는 산과 강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삶의 터전을 이루는 근원적 개념이라는 것에 집중했다. 산(山)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주는 정신적·물질적 의미와 생명의 근간을 이루고 지역과 물산의 경계를 나누는 강(江) 줄기의 생명력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해 멋진 서사로 꿰어낸다. 

조용헌 강호동양학자는 추천사에서 “신정일 선생의 주특기는 ‘맨땅의 헤딩’이다. 이마에 피가 흘러도 이를 인생수업으로 생각하는 끈기와 집념의 소유자”라며 “택리지의 현장 정신을 계승해 산천 곳곳의 생생한 역사와 문화 이야기가 담겨 있다”고 밝혔다. 

책은 ‘산수만민이 우러러보는 우리 산하’,‘백두대간에 자리 잡은 여덟 개 명산 백두산이 오지랖을 벌리고’, ‘속리산에서 지리산으로 백두대간은 이어지고 높다란 사면 푸른 연꽃 같은 봉우리’ 등 세부적인 테마를 정해 산과 강의 특색, 풍토, 물산, 역사와 전설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사람이 살 만한 곳을 찾아 헤맸지만 결국 살 곳을 찾을 필요가 없는 세상을 꿈꾸었던 이중환의 삶에 매료돼 운명처럼 시작된 방랑”이었다며 “홀로 떠돌았던 시절을 접고 ‘황토현문화연구소’와 ‘우리땅 걷기’라는 이름을 걸고 20여 년간에 걸친 국토 편력을 정리해 책을 썼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스승 이중환의 택리지를 신정일의 신택리지로 다시 쓰게 된 것은 다시없는 행운이자 영광이었다”고 덧붙였다.  

신정일 선생은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해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사업을 펼쳤다. 

1989년부터 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길 위의 인문학’을 진행하고 있다. 또 한국 10대강 도보 답사를 기획하여 금강‧ 한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5대강과 압록강‧두만강‧ 대동강 기슭을 걸었다. 

그동안 <길 위에서 배운 것들> <길에서 만나는 인문학> <홀로 서서 길게 통곡하니> <대한민국에서 살기 좋은 곳 33> <섬진강 따라 걷기> 등 60여 권의 책을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정일의 신 택리지 #산과 강의 풍수 #신정일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