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02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학·출판
외부기고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특별기고⑤]고통받은 몸의 상처가 써 내려간 글

image
이소애 시인, 문학비평가 

지난 10일 저녁 8시(한국 시각) 노벨문학상을 주관하는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 작가를 수상자로 발표했다. 한국문학의 위대한 승리다!

한국인으로서도 처음이지만 아시아 여성으로서도 처음인 한국문학의 대단한 쾌거다. “한강은 모든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범들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각각의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다. 육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시적이고 실험적인 문체로 현대 산문의 혁신가로 자리매김했다.”라는 선정 이유이다. 

2016년 5월 ‘채식주의자’(2007)로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을 했을 때 책을 탐독했었다. 미국 월간잡지인 오프라 메거진에서는 “충격 때문에 손으로 입을 막고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놀라운 평을 하기도 했다. 

제주 4⸱3을 소재로 한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도가 바다와 한라산보다는 팽나무와 핏물이 붉게 묻어나올 것 같은 돌담이 걸어온다. 무섭다.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간 있었던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과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민주화운동 시 유혈진압을 전개한 소설이다.

“죽지마, 죽지마라 제발” 소설 뒤표지를 덮을 때까지 생각을 흔드는 소리였다. 눈을 뗄 수 없는 보편적인 깊은 울림을 준다.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은 2011년 5월 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정식 등재되었다. 이때 충장로에 사는 절친한 친구 때문에 전화 개통이 시작되고 두절 된 교통이 트이고 해서 달려갔다. 친구 집에서 놀라운 장면을 목격했다. 친구 아들이 발바닥에 사인펜으로 이름을 쓰고 있었다. 청년들을 무조건 잡아가면 시체도 찾지 못한다는 소문이 떠돌아서 몰래 쓰고 있다고 공포가 묻어나는 목소리로 말을 이어갔다. 태극기에 덮인 주검을 보고 돌아온 나는 며칠 잠을 설친 기억이 떠올랐다.

손가락 사이에 볼펜으로 주리를 튼다는 상처를 위로라도 해야겠다는 심정으로 볼펜을 한데 모아 깊숙이 서랍에 감췄다. 한강의 소설은 고통받은 신체의 리듬이 묻어난다. 고통받은 몸의 상처가 써 내려간 글이었다. 삶의 비극성에 대한 상처를 응시하는 탄탄한 서사적 냄새가 글 속에 숨어있다. 

 ‘당신이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습니다.’는 뼈에 사무치도록 새겼다. 

2016년에 출간된 독특한 형식의 산문 소설 ‘흰’은 마치 스페인의 건축가 가우디의 조개 모자이크 기법을 활용한 것처럼 시적인 단어들을 조합하여 구성된 시적인 글이었다.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는 국가 권력에 의해 자행된 폭력과 그로 인해 희생된 사람들의 이야기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잔혹성과 폭력성을 묘사한 소설에서 시적 묘사를 느낀다. 폭력과 억압이 남긴 상처가 시간이 흘러도 쉽게 치유되지 않음이 책에서 보인다. 그래서 작가는 진실을 외면하고 침묵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살아남은 자들이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하여 연대해야 한다고 강하게 말한다. 그렇다. / 이소애 시인, 문학비평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벨문학상 #이소애 #한강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