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 국산 섬유소재 활성화 '2024년 제2차 섬유산업위원회'
중동과 유럽 전쟁 수출 감소, 물류비와 전기료 인상 원가 부담
국방섬유 국산화 비율 7% 수준, 국산화 의무 품목 확대해야
국내 섬유산업이 대내외 악재로 위기를 맞고 있다. 중동과 유럽의 전쟁 장기화로 수출이 감소하고 물류비와 전기료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국방섬유 국산화 비율마저 7%대에 그치면서,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8일 안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에서 '2024년 제2차 섬유산업위원회'를 개최하고 국산 섬유소재 활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구홍림 반월패션칼라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을 비롯해 한상웅 한국패션칼라산업연합회장, 김권기 한국가방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이석기 대구경북섬유직물공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섬유업계 중소기업 대표 15여 명이 참석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박윤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미국은 군·조달 분야에서 자국산 제품 우선구매 제도를 통해 산업을 보호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국방섬유 국산화 비율은 7% 수준에 불과한 점을 꼬집었다. 이에 따라 전투복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까지 국산화 의무 품목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 수석연구원은 문제 해결을 위해 국산 섬유제품 인증제도 세분화와 방위사업법 개정을 통한 국방물자 국산섬유소재 사용 법제화를 제안했다. 직접생산 확인제도에 제편직 및 염색가공업을 포함하고 국산제품 우대제도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특히 일본 도레이와 유니클로의 사례를 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도레이는 유니클로와 협업을 통해 히트텍, 에어리즘 같은 히트상품을 개발했으며, 염색·직물 중소기업과 클러스터를 구축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벤치마킹해 국내에서도 대기업과 중소협력사, 섬유연구소가 참여하는 장기 지속가능한 상생협력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IT 플랫폼 기업과 섬유 중소기업이 협력해 단납기·소량다품종·스마트물류 생산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제언했다.
구홍림 섬유산업위원장은 "중동 및 유럽 전쟁 장기화로 인한 섬유 수출 감소, 물류비 및 전기료 인상에 따른 원가 상승,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섬유업계 경영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산 섬유소재 사용 확대를 위한 방위사업법 개정을 비롯해 패션 대기업과 섬유중소기업의 기술·상품공동개발 등 상생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