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재인식
최근 한 초등 교사의 극단적 선택, 그것은 바로 한국교육의 현주소인 것 같다. 극단적 선택의 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다만 교육부 장관의 ‘학생인권조례’를 심도 있게 손 보아야 한다거나, 서울시내에서 수천 명의 교사들이 자발적인 추모행사를 가졌다는 기사를 보면, 그 극단적 선택은 대강 짐작이 간다. 우선 그 젊디젊은 여교사의 극단적 선택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 교육부 장관이 언급한 ‘학생인권조례’ 그것은 몇몇 진보좌파 성향 교육감들에 의하여 태어난 것이고, 그것은 또한 교수활동에서 교사의 무장해제의 도구가 아니겠는가? 더구나 최근 신문 보도와 같이, “아이 모닝 콜해 달라든가, 잡담을 막자 ‘말할 권리 침해”라는 그 몰지각한 학부모의 언동에서 우리는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인식의 한 켠을 읽을 수 있다. 더이상 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다. “선생님의 그림자는 밟지도 않는다.”는 그 말도 이제는 옛이야기만 같다. ‘교육‘은 우리 인간의 삶의 한 장면으로, 그것은 풍토적 생활유형성을 띠고 있기에 한국인에게는 한국교육이 있어야 하고, 한국인의 문화전달이라는 기능은 한국교육의 기초요, 한국교육의 특징이 아닐 수 없다. 이렇듯, 교육의 중요한 기능이 바로 ’문화의 전달이다‘. 학교교육에서 그 전달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권위를 위한 교권이 학보되어야 한다. 교사의 질 문제는 차후 문제다. 그것은 꾸준히 개선되어가야 하는 진행형이다. 그 누구도 교육현장에서 교육을 주도해 가야 할 교사의 권위나 교권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이 문제는 교사가 가정교육의 장에 개입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따라서 학교교육에서 학보모는 그 학교교육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후견적 입장에만 서야지, 교수활동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또한 교육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교육의 지평(地平)이 있고, 교육의 방법으로는 뭐니 뭐니 해도 역사적으로 보면 ‘모방(模倣)’같이 제일 생명력이 긴 것도 없고, 그와 같이 좋은 교육방법도 없다. 그러니 좋은 교사에 좋은 제자가 있지 않겠는가? 그러기에 교육이 정상화되고, 교육의 장(場)이 건전하려면, 교육의 지평이 반듯해야 한다. 교육의 지평이 기울 때, 모든 문제는 거기서 발생한다. 교육의 지평이 반듯해야 학생들은 사방을 바르게 볼 수 있으며, 모든 것을 곧게 들을 수 있으며, 모든 것을 자기 고유의 자유로운 사유로 판단할 수가 있지 않겠는가? 그것을 지켜주고, 지도해 주는 것이 교사(敎師)의 권위(權威)다. 교사의 권위도 교육의 지평이 반듯할 때 바르게 작동할 수 있고, 보호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육, 지금은! 그 지평은 왼쪽으로 기울고 있지는 않는지, 교사의 권위와 교권은 확보되었는지, 교사는 그의 권위를 위해 얼마나 자신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는지, 학부모는 내 자식을 가르치는 교사를 얼마나 존경하고 있는지? 그걸 알고 싶다. /김경식 연정교육문화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