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이준호 작가 - 최연숙 '경성 기억 극장'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가 배경이지만 작가가 전달하려는 의미는 지금, 여기, 우리에게도 유용하다. 친일이나 위안부, 강제징용 같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에 더욱 그렇다. 고아인 덕구는 열두 살이다. 제공권과 제해권이 연합군에게 넘어가 배급제가 실시되는 조선에서 덕구는 살기가 버겁다. 덕구가 어렵사리 일자리를 얻은 경성 기억 극장엔 기억을 삭제해주는 기계가 있다. 주된 손님은 전쟁 범죄를 지우려는 군인들이다. 때론 학병 지원을 권유한 지식인, 독립군을 고문한 경찰이 찾기도 한다. 이 기계는 일본 군부가 경성제국대학 교수에게 의뢰하여 만들었다. 패전하여 전범 재판이 진행될 경우, 군인들의 기억을 지워 불리한 증거들을 없애겠다는 의도이다. 군인들은 PTSD로 고통 받지만 전쟁을 기획하고 명령한 자들은 그들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다. 일본은 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이라 부른다. 그리고 유럽 중심의 구체제에 맞서는 일본 중심의 ‘대동아 공영권’을 ‘신체제’라 명명한다. 일본은 이 슬로건들을 구현하기 위해 전쟁을 선택한다. 멸사봉공이니, 일억일심이니 하는 전체주의 아래에서 전쟁을 수행했으니, 그와 같은 방법으로 전쟁 범죄를 지우는 것 또한 이상하지 않다. 일본인들은 중앙정치보다 지방정치에 투표율이 높다. 일본은 세습 정치인이 많다. 집권당인 자민당만도 의원의 40프로가 대를 이은 정치인이다. 국민은 눈앞의 것에만 집중한다. 정치인은 선대의 잘못을 인정하면 자신들의 정체성마저 흔들리게 된다. 이런 상황이니 왜곡과 삭제가 일어나기 딱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일본이 아무리 많은 기억 삭제 기계를 작동해도 과거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과거는 사유재가 아니라 공공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덕구 옆방에 사는 아저씨는 고문 후유증으로 괴로워한다. 덕구와 용남이는 독립운동 혐의가 있는 옆방 아저씨를 밀고했다. 두 아이는 죄책감을 잊으려고 기억을 지웠지만, 애쓴 보람도 없이 자신들의 과오를 알게 된다. 그 과정에서 덕구 엄마의 약값 때문이었다는 게 밝혀지지만 그건 면죄부가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도 작가의 주제의식이 드러난다. 인간은 기억할 때만이 인간이다. 이 작품은 ‘도망치고 싶은 현실’을 포기하고 ‘안주하고 싶은 가상’을 선택하는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경성 기억 극장의 기계는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경성 기억 극장의 스크린엔 사람들이 지우고 싶은 기억이 투사된다. 극장은 공유하고 나누는 곳이지 삭제하는 곳이 아니기에 경성 기억 극장은 그 기능을 잃었다. 그러므로 독립군과 일본군의 충돌 과정에서 파괴되는 건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다 읽고 나니 이런 생각이 든다. 나쁜 기억도 기억이고 흑역사도 역사다. 그러니 지워서도 안 되고, 지울 수도 없다. 사족 한 가지, 이 작품 중간쯤에 기억을 지운 어느 사람의 직업을 ‘공군 비행사’라고 적고 있는데, 당시 일본은 육군과 해군 항공대만 운용했다. 이준호 작가는 소설과 동화를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할아버지의 뒤주>, <그해 여름, 닷새>, <커렉터>, <탁류의 시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