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바이오 산업의 성장잠재력] 4. 과제
전북의 바이오산업은 높은 발전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한계점에 직면해 있다.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정책과 제도 마련을 통한 전방위적 지원이 요구된다. 지난 2022년 통계청 경제총조사 결과 전북은 울산, 충북, 인천에 이어 지역 내 바이오 비중과 전국 대비 바이오산업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업체 대비 종사자와 종사자 증가에 대한 분야별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정부 차원에서는 핵심 인재 육성, 기술개발 등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정책 발굴 및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올해 2월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으로 첨단재생의료 치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규제개선, R&D 투자, 세제혜택, 인력양성, 투자유치 등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전북 등 지자체마다 그린바이오 산업 대비 레드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이 낮고, 관련 인프라와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세제, 인허가 등의 지원 혜택 부족으로 기업 유치와 기술개발이 정체되고 있다.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 전문 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와 대전 대덕 연구단지, 인천 송도바이오클러스터 등 바이오산업에 선도주자로 꼽히는 지역들은 기업, 기관, 연구소 등이 한 곳에 몰려있다. 이들은 우수한 연구개발 시설 및 장비, 입주기업 지원 여건, 자생적 협력 네트워크,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역량 등의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해외 바이오 클러스터의 경우에도 민간주도 또는 정부주도 방식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전북은 전주-익산-정읍 3개 지역으로 분산돼 있다보니 기업 집적화 등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기존의 특례와 연계해 기업의 대상규제를 해소하고, 신규 특례 발굴도 요구된다. 실제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는 단지 내 규제 특례로 외국인 체류기간 및 사증 발급을 우대하고 있으며, 외국의료인 의료행위를 허가하고 있다. 도내 바이오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에서는 시제품 개발 등 기술지원(26.3%), 인력양성 및 공급체계(15.8%), 첨단시설/장비구축·활용(14%), 기술창업 지원·정주여건 조성·지식산업센터 등 입주공간 지원(각 8.8%)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문인력 부족(31%)과 연관 산업 인프라 부족(28.6%)이 바이오 특화단지 참여의향 기업들의 주된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 수요 맞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사업 기획(33.3%)과 고용서비스 지원(21.4%)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편 지난해 8월 발표된 레드바이오 연구용역에 따르면 전북은 기존 제약산업 육성보다는 천연물 기반 신약후보물질 발굴 등 농생명 바이오 신소재 기술에 기반한 레드 바이오 산업 집중이 효과적이라고 내다봤다. 우수 바이오 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고 바이오기술 기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전용 지원 공간 조성, 기업 간 네트워킹 및 정보 공유 강화 등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