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연구개발특구 지정 의미와 기대 효과] 道 숙원 '융복합산업 허브' 토대 마련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으로 전북도의 ‘융복합산업 허브’실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전북도는 13일 “전북연구개발특구의 기술 사업화 지원으로 2021년까지 1만 명 이상의 고용 유발, 8500억원 이상의 매출 증대, 300여개의 신규 기업 입주 등 5조 5000억원 규모의 경제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나아가 전북의 지역내총생산(GRDP), 재정력 향상은 물론 산업 구조의 고도화 등이 기대된다”고 밝혔다.전북도는 지난 2010년 광주·대구와 함께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홀로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이후 농생명, 융복합산업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정부출연기관이 이전하면서 현재는 KIST 전북분원·첨단방사선연구소·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등 6개 정부출연기관, 농업·식량·축산·원예특작 과학원 등 4개 국립연구소를 보유하게 됐다. 이는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국립·정부출연연구소 수치다.전북도는 국·공립연구기관, 대학 등 공공연구 성과의 기술 사업화를 통해 기업의 제품 개발, 투자 유치를 활성화한다는 구상이다. 또 연구소기업 설립 등 신규 창업을 활성화하고, 농생명과 융복합소재부품산업 등 특화 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특히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통해 민선 6기 핵심 과제인 농업과 탄소산업이 융복합산업으로 발전하는 토대가 마련됐다. 농생명 산업의 경우 전통적인 농업 방식을 벗어나 발효 미생물, 종자 육종, 바이오 융합, 정밀 농업, 스마트 농기계 등 생명공학(BT), 정보기술(IT)과의 융복합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융복합 소재부품산업의 경우 탄소복합소재 부품, 나노 탄소소재, 고강도 합금소재, 인쇄전자 소재 부품, 방사선융합기술(RFT) 응용 생체소재 등 고부가가치 소재 산업의 육성을 통해 관련 기업이 모이고, 외지로 유출되는 지역 인재를 위한 양질의 고용 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