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김영주 작가 - 오카 슈조 '힘들어도 괜찮아'
그의 작품 속에는 갖가지 장애들이 등장한다.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이 진솔하다. 장애로 인한 상처와 고통을 과잉으로 부각시키거나 일반화 시키지 않는다. 동정하거나 불쌍하다고 구구절절이 서술하지 않는다.『나는 입으로 걷는다』의 다치바나처럼 현재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 감사한다. 어제와 변하지 않은 오늘이 소중하다. 『힘들어도 괜찮아』의 시게루는 손 하나 움직일 수 없어, 아주 소소한 일도 못하는 극한 장애를 가졌다. 태어날 때부터 갖은 장애는 아니었다. 점점 근육이 굳어지는 병으로 인해 지금에 이르렀다. 여동생 가즈요가 요강을 가져다 옷을 벗겨주지 않으면 생리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 가즈요는 친절하지 않다. 그럼에도 손을 빌려야 한다. 그리고 시게루는 속으로 말한다. ‘햄버거도 먹었고, 물도 마셨고, 오줌도 누웠고. 배가 좀 덜 찼긴 하지만…… 나는 참을성이 많은 아이다. 이제 눕자.’ 시게루의 독백처럼 전개되는 글속에서 포기는 볼 수 없다. 말을 할 수 있어 도움을 청할 수 있다. 눈치를 보지 않는다. 웬만하면 엄마와 동생을 힘들게 하지 않으려고 참을 수 있을 때까지 참는다. 예전에 척수마비 장애자가 생활하는 곳에서 함께할 기회가 있었다. 신체에 대한 기억은 고스란히 남아있는데, 움직일 수 없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나마 휠체어를 굽어진 손가락이 있어 휠체어를 밀 수 있어 다행인 이도 있다. 하지만 휠체어에서 자리를 옮기려면 재활치료사의 도움이 필요했다. 감각이 남아있는 얼굴을 모기가 물어도 속수무책으로 있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몸에 감각이 없을 뿐, 감정은 살아있다. 시게루는 엄마와 동생이 자신에게서 등 돌릴까 봐 두렵다. 아빠처럼 떠날지 모른다는 조바심을 가슴에 숨기고 지낸다. 자꾸 몸이 안 좋아지는 것을 시게루는 느낌으로 안다. 그런 자신을 엄마가 시설로 보내려한다는 오해를 한다. 낭떠러지 위에 홀로 남겨진 꿈에 시달린다. 이 동화를 함축한 겉표지 그림이 인상적이다. 큰 손 위에 앉은 시게루와 아오키 형이 앉아 새에게 모이를 뿌려준 모습이다. 둘의 표정은 평화롭기 그지없다. 아오키는 손도 들어 올리지 못하고, 그나마 손목만 간신히 움직일 수 있는 정도였다. 누구의 손이 필요한 장애, 다행이게 움직이는 손목. 절망과 희망이 공존하는 순간을 보여준다. 오카 슈조는 절망의 탁한 공기를 환기시켜주는 힘이 있다. 장애 뿐 아니라 본성까지도 거듭날 수 있다고. 『힘들어도 괜찮아』를 검색하면 ‘장애인의 날에 추천하는 책’이란 글이 보인다. 잊고 지내는 것보다 낫겠지만, 왠지 씁쓸하다. 날을 정해 기억하는 일, 너무 속보이지 않을까? 장애와 비장애는 늘 공존한다. 그들과 가족이고, 친구이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니까. 시게루의 몸은 점점 굳어지지만, 그의 이성은 성숙한다. ‘내가 밝아지면 모두가 밝아지는…… 것일까?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닐지도 모르지만, 뜻밖에 단순할지도 모른다. 내가 변하면 내 주위 모습도 변할지 모른다.’ 오카 슈조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했던 경험들이 모두 소재가 되었다. 장애 뿐 아니라 비장애인의 상처까지 드러냈다. 『우리 누나』의 다운증후군 장애를 갖은 누나를 둔 쇼이치, 『거짓말만 가득』의 게이 아저씨의 거짓 아닌 진실, 『바람을 닮은 아이』속 자폐아,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는 함께 사는 세상이란 걸 작품마다 알리고 인식시킨다. 특별한 날이 아닌 오늘의 이야기를 말해주고 있다. 김영주 작가는 2018년 전북일보 수필로 등단했으며, 2018년 동양일보 동화 신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레오와 레오 신부’, ‘가족이 되다’ 가 있다. 현재 글쓰기 수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