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일(미술평론가)
푸르름이 좋은 계절이다. 넓은 들판에서 일렁이는 맥파(麥波)를 본다.
‘보릿고개’의 그늘진 추억을 떠올린다.
신세대들은 춘궁기(春窮期)의 애환을 잘 모를 테지만 1960년대 까지만 해도
보릿고개가 있었다. 농촌에서 보리 수확을 앞둔 3, 4월을 보릿고개라고 불렀다. 지난해 추수한 쌀 양식은 이듬해 2, 3월이면 바닥이 났다. 게다가 4월학기(지금은 3월학기)초가 되면 대학에 들어간 아들 ? 딸의 등록금, 중 ? 고등학교 기성회비 때문에 부모님들은 애를 태웠다. 먹고 살기가 어려웠던 시절에 학자금 걱정은 엎친 데 덮친 격이어서 여간 어려웠던 게 아니다.
소 팔고, 논 팔아 자식 가르치던 1950~1960년대 농민들의 애타는 심정을 뭉뚱그려 보릿고개라고 표현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학을 ‘우골탑(牛骨塔)’이라 불렀고, 신문은 3월이 되면 어김없이 보릿고개의 아픈 이야기를 사회면 머리기사로 올렸다. 이제 얼마 안 있으면 모내기 철 이다. 단오 전후 며칠이 모내기 적기였지만 요즘은 농사짓는 방법이 달라져서 모내기철이 사뭇 빨라졌다. 5월 초순부터 모내기는 시작될 것이다. 옛날에는 권농일(勸農日)이란 게 있어서 농사를 독려했다. 시골의 초?중?고등학교에서는 모내기와 추수에 맞춰 하루 이틀 농번기 방학도 해줬다.
1961년, 군사 구테타가 일어난 뒤 함석헌(咸錫憲)선생이《사상계》에 농사 이야기를 기고한 일이 있다. 필자의 기억으로는 “옛날에 한 농부가 추수를 앞두고 논에 나갔다가 다른 사람 논의 벼 이삭은 다 패었는데 자기 논의 벼는 아직 영글지 않아 속이 상했다. 그래 곰곰이 생각하다가 자기논의 벼 모갱이를 모두 잡아 빼 다른 사람 논의 벼처럼 해놓고 집에 돌아와 아내에게 우리 집 벼가 남의 집 벼보다 훨씬 크다고 자랑했다. 며칠 후 벼가 얼마나 잘 자랐는가 보려고 논에 나간 아내가 하얗게 타죽은 벼 이삭을 보고 대경실색 했다”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이것이 결과 위주의 '빨리빨리 병(病)'이 아니 였을까…. 아무리 바보 같은 농부라도 오늘 씨를 뿌리고 내일 밭에 나가 싹이 잘 났는지 허적그려 보는 일은 없다. 적어도 씨를 뿌리고 사흘은 차분히 기다리는 게 농부의 마음이다. 또 수확한 곡식을 얼마간 묵혀 두었다가 먹거나 씨앗으로 삼는 지혜도 가지고 있다. 곡식이든 과일이든 일정한 후숙기(後熟期)을 거쳐야 제구실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작물은 주인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라는 법이다. 영농기술이 아무리 발달되었다 해도 농사짓는 비결은 근면 성실이다. 그리고 기다림이다. 기다림은 무엇인가. 인내가 아닌가. 농사도 사람 사는 이치와 하나도 다르지 않다. 교육처럼 과정이 중요하다. 씨 뿌려 바로 열매 맺게 할 수 있으면 좋으련만 하느님은 그걸 허용하지 않았다.
일정한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결과는 없는 법. 모내기를 해서 김매고, 거름 주고, 병충해도 예방해야 추수를 할 수 있다. 과정은 시간을 요구한다. 그래서 기다림이 필요한 것이다. 농사에도 속성재배가 있다. 하지만 속성이 모든 걸 해결해 주지 않는다. 속성에는 무언가 모자람이 따르게 마련이다. 세상이 열 두번 변한다 해도 농심은 하늘의 뜻이다. “봄에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게 없다”는 평범한 진리도 농민의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 ‘근면 성실’은 농부의 생활신조다.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선생은 “오직 지성이라야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고 가르쳤다. 지난해 농산물 개방 자유무역(WTO)협정을 놓고, 농민들이 벌인 반대시위가 무엇을 말하는지 정부는 이들의 주장(농심)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 필자는 오늘 흰눈이 소복이 내린 한 겨울 초가집 감나무에 동그마니 매달려있는 빨간 감을 생각한다. 그렇게도 따먹고 싶었던 감이 까치밥으로 남겨놓은 ‘농심’이었다는 사실을 외치고 싶은 것이다.
/이규일(미술평론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